아하
생활

생활꿀팁

강렬한코요테84
강렬한코요테84

장타, 단타 하는 기준이 뭔가요?

주식을 살 때 장타로 할지 단타로 할지 어떻게 결정하시나요?

넣은 주식이 잘 안 오르면 장타로 묶어 놓고 주식이 급등하면 단타로 팔고 빠지시나요?

팔 때는 어떤 조짐을 보시고 파시는 건가요? 뉴스를 보면서 하려고 했더니 안 맞을 때도 있는 것 같아서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풍족한돌고래58
    풍족한돌고래58

    기준을 정확히드리겠습니다. 최근 핫한이슈, 테마속에 있는 주식에다가 단기급등 하는 모습을 보일것 같은것들은 단타로접근하는게 맞습니다 하루 이틀 사흘정도로, 이때는 회사의 per pbr을 포함한 재무제표는 별로신경 안쓰고 차트와 뉴스만보고 단기적으로접근하는게 맞고, 장기는 접근자체를 다르게해야합니다. 제무상태가 어떻고, 지분구조가어떻고, 미래에 가치가 있는가를 판단해서 가치를 보고 길게 끌고가는게 장타입니다. 기업에대한 판단이 정확하다면 단기적인급락이나 조정에흔들리지않고 끌고가는게 중요합니다. 단타치다 물려서 장투로전환한다? 이런마인드는 정말 안좋고 해야하지말아야될 1순위입니다.

  • 안녕하세요 강렬한코요테84님

    장기투자와 장기투자를 가르는데 가장 크게 작용하는 것은 주식을 통해 이루고 싶은 목적인 것 같습니다.

    단기투자는 대개 일정한 수익을 목표로 매매법과 기간을 선정하고 계획을 짭니다.
    반면에 장기투자는 한 명의 투자자로서 기업의 가치를 보며 그 가치가 모두 주가에 반영될 때 가지 들고가는 것을 의미합니다.

    나의 시드머니가 100만원이 있고 단기간에 5%의 수익을 내서 105만원을 만들겠다 다짐해봅니다.
    목표를 이루기 위해 매매기법과 그 매매기법을 적용시킬 시간이 필요하겠죠. 이렇게 접근하는 것은 단타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이럴 경우에는 정보, 뉴스, 차트 등을 보며 빠르게 반응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장기투자는 내가 정말 믿는 기업 하나 혹은 여러 군대에 나의 돈을 투자하여
    그 기업이 나를 위해 돈을 벌어다주는 느낌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삼성전자에 나의 돈을 투자하면, 삼성전자는 내가 투자한 돈을 받고 사업에 재투자합니다.
    재투자하여 삼성전자의 기업가치를 올려서 주가를 올리거나 배당금을 인상하겠죠.
    장기투자는 이렇듯 '동업자'의 개념이 근간에 깔립니다.

    큰 의미로 나눠본다면 이렇게 말씀 드릴 수 있겠지만
    사실상 실제로 주식을 매매하다보면 쉽게 지켜지지 않습니다.
    주식 시장에서 분명한 목표를 세우는 것이 잃지 않게 투자하기 위한 초석이니
    꼭 목표를 세워놓고 투자를 시작하시길 바랍니다.

    장기투자와 단기투자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주식질문 답변가 부자아빠입니다.

    예를 들면 내가 어떤 기업을 샀는데.. 배당율이 7~8%수준이고, 앞으로의 이익과 성장이 기대되는 회사라면 팔이유가 없어서 장기적으로 계속해서 보유하겠죠?

    반대로 내가 이회사를 갖고 있는데 고무신을 파는 회사라고하죠. 자산도 없고, 임직원들도 시장에 대해 전혀 모르는 상황이며 그냥 감으로 창업한 회사라고 가정하죠.

    그러면 이런 회사를 장기투자 해야될까요?

    뉴스로 봐서는 그 기업에 대해 제대로 알기가 어렵습니다.

    그 기업이 만드는 제품과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그 기업에 대해 이해하는게 중요한거지.

    내가 부동산을 살 때도 내가 살면 얼마나 편의 생활을 누리면서 자식들 교육에 도움이 될지를 고려하면서 구매할 것이며, 옷 한벌을 사도 그 효용을 따지는데 내가 투자할 기업에 대해서는 뉴스를 보고 사고 파는건 좀 이싱한 일 같습니다.

    그게 맞을 때도 있고 안맞을 때도 있는건 당연하죠.

    어차피 뉴스에 이야기만 전달하는 매체인데.. 그게 기업의 앞날을 보장하는건 아니지 않습니까?

    카카오나 쿠팡 아무리 욕먹었어도 결국 시장을 지배하면서 계속해서 성장하는 엄청난 기업인데.. 이런 본질을 보는 사람들은

    장기투자해서 큰 돈을 벌었죠.

    만약에 그런 기업들을 보유하고 있다면 팔아야 할 때는 누구보다 투자자가 잘 알게 됩니다.

    예를 들면 사람들이 갑자기 카카오를 다 버리고 싸이월드로 간다고 가정해보죠.

    그러면 카카오를 더 들고 있으면 그게 이상한 거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