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광 다이오드는 전구가 아닌데 어떻게 빛이 나는가요?
일반 전구는
필라멘트에 전기를 흘리면서
열에 의한 빛의 발생 원리로 알고있습니만
발광 다이오드는
전구처럼 열을 발생시키는 원리도 아닌데
대체 어떻게 빛을 발생시키는 건가요?
다이오드 에서
빛을 발생시키는
기본적인 원리를
좀 설명해 주시면 좋겠습니다.
발광다이오는 LED라고 합니다. LED는 전류를 가하면 빛을 발하는 화합물 반도체 입니다. LED는 양(+)의 전기적 성질을 가진 p형 반도체와 음(-)의 전기적 성질을 지닌 n형 반도체의 이종접합 구조를 가집니다. 이런 반도체의 원리는 전압이 가해지면 전류가 흐르고 그러면 N층에 있는 전자가 정공이 많은 P층으로 이동하고 이때 전자가 정공과 결합하면서 열과 빛이 방출되는데 그것이 발광다이오드의 빛의 방출입니다. 이때 화합물에 사용되는 원소에 따라서 LED 빛의 색이 달라집니다.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 입니다.
발광 다이오드, 즉 LED는 전구처럼 열에 의해 빛을 발생시키지 않습니다. 대신, 전기 에너지를 직접 빛으로 변환하는 과정을 활용합니다. 발광 다이오드는 반도체 재료로 만들어져 있으며, 이 반도체에는 P형과 N형 두 가지 영역이 있습니다. 전기를 가하면 전자가 N형에서 P형으로 이동하면서 에너지를 방출하게 되는데, 이 에너지가 바로 빛으로 발산됩니다. 이런 과정을 전기발광이라고 합니다. 발광 다이오드는 효율적이며 열을 거의 발생시키지 않기 때문에 전구에 비해 에너지 효율이 높고 수명이 깁니다.
안녕하세요. 전기전자 분야 전문가입니다.
발광 다이오드(LED)는 전구와는 다른 방식으로 빛을 발산합니다. 반도체 소재로 제작된 LED는 전기 에너지를 직접 빛으로 변환합니다. 이 과정을 전기적으로 활성화된 상태인 전자와 전자공핍 영역의 홀들이 결합하면서 에너지가 방출되는 현상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이때 에너지가 방출될 때 나오는 빛이 우리가 보는 LED의 빛입니다. 일반 전구처럼 필라멘트를 가열해 빛을 내는 것이 아니라, 반도체 물질안에서 전자가 이동하면서 직접 빛을 발생시키는 것이 특징입니다.
좋은 하루 보내시고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간략하게 말씀드리면, 발광다이오드의 경우 반도체 재료를 활용하여 빛을 내는 것으로, PN접합을 한 후, 전압을 인가하게 되면, N형에 있던 전자가 P형 반도체로 이동하고, P형 반도체의 홀은 N형 반도체로 이동하게 됩니다. 이때 P형 반도체 쪽에서 전자와 홀이 재결합하는 과정에서 전자가 에너지 준위가 낮은 상태로 떨어지면서 에너지를 방출하는데, 이 에너지가 빛의 형태로 방출됩니다.
감사합니다.
발광다이오드는 기본적으로 반도체이며 p층과 n층으로 구성되어 순방향(p층에 p n층에 n) 전압인가시 p층.n층 간에 전자가 이동할수 있게 됩니다 이때 에너지(빛)을 발산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발광 다이오드는 전구처럼 필라멘트를 태워 열을 발생시키는 방식이 아닌, 반도체 내에서 음전하와 양전하가 재결합하는 과정을 통해 빛을 발생시킵니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발괄 다이오드는 N형과 P형 반도체를 접합하여 만든 PN 접합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N형 반도체는 음전하가 많고, P형 반도체는 양전하가 많습니다.
외부에서 전압을 가하면 N형 반도체의 음전하들이 P형 반도체 쪽으로 이동하고, P형 반도체의 양정하들과 재결합합니다. 이 과정에서 여분의 에너지가 빛 에너지로 방출되어 LED가 빛을 내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