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용어

삼겹살굽기
삼겹살굽기

데밍은 왜 대량검사가 역효과를 일으킨다고 봤나요?

데밍이란 학자가 품질문제의 근원이 뭐라고 주장하였다는데요. 그중 대량검사를 하는 것이 역효과를 불러왔다는데 근거가 궁금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데밍의 이론의 특징적인 점은 문제의 근원을 공통원인과 특별원인으로 구분하고 특별원인은 관계한 담당자의 책임이지만 지속적으로 회사 전체에서 발생하는 공통원인으로 인해서 발생하는 문제의 해결과 제거는 경영층의 책임으로 이의 해결을 위해서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는 것이다. 특별히 대량검사, 그리고 지나치게 무결점을 강조하는 것은 단기적으로는 성과를 개선시킬 수도 있으나 결국은 역효과로 인하여 조직 내 여러 가지 문제를 야기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 데밍은 대량검사가 품질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역효과를 일으킨다고 주장했습니다.

    데밍은 대량검사가 결함을 사후에 찾아내는 방식일 뿐 근본적인 원인인 공정과 시스템의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다고 보았습니다.

    또한 대량검사는 비용과 자원 낭비를 초래하며, 사람들을 검사에 의존하게 만들어 공정 개선 노력을 저해한다고 비판했습니다.

    데밍은 검사보다 사전 예방과 공정 개선을 강조하며 통계적 공정 관리(SPC)를 통해 변동성을 줄이고 품질을 사전에 관리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라고 주장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전문가입니다.

    데밍은 대량검사가 품질 관리에서 역효과를 일으킨다고 주장했습니다. 그의 주장은 주로 문제의 근본 원인을 무시하는 데서 비롯됩니다. 대량검사는 제품이 생산된 후에 결함을 찾아내는 방식으로, 이는 실제 문제를 해결하기보다는 단순히 결함이 있는 제품을 걸러내는 데 집중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품질 문제의 근본 원인을 파악하고 개선하는 노력이 소홀해지며, 결과적으로 품질이 향상되지 않습니다.

    또한, 대량검사는 시간과 자원을 소모하게 되어 생산 비용을 증가시킵니다. 결함이 발견된 후에는 재작업이나 폐기 비용이 발생할 수 있어, 전체적인 효율성을 저하시킵니다. 더불어, 대량검사에 의존하게 되면 직원들이 품질에 대한 책임감을 느끼지 못하게 되고, '검사로 해결할 수 있다'는 잘못된 인식이 생겨 품질 개선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을 저해합니다.

    마지막으로, 대량검사로 인해 결함이 있는 제품이 시장에 유통될 가능성이 높아지며, 이는 고객의 신뢰를 잃게 하고 브랜드 이미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데밍은 품질 문제의 근원이 시스템과 프로세스에 있다고 보았으며, 품질 개선을 위해서는 예방적 접근과 지속적인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