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유아교육

뽀얀굴뚝새243
뽀얀굴뚝새243

아이들이 다 10세 미만인데 예절 교육은 언제부터 어떻게 시켜야 교육이 될까요?

초등학교 들어가기 전이고 따로 집에서는 예절에 대한 교육은

아직 안 한 상태라서 그런지 아이들이 버릇이 없고 사람에 대한

예의를 모르는 거 같아요.

아직 어리니까 그러려니 하고 있는데, 아이들의 예절교육이 중요할 거

같은데 몇 세부터 예절에 대한 교육을 해야 효과적일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예절 교육을 하는 데에 정해진 나이가 따로 있지는 않아요. 아이가 어느 정도 말이 통하는 시점에서, 그리고 아이가 본인의 행동에 대해 책임을 져야 하는 시기인 시점부터 시작하면 되는데 유치원에 들어갈 정도부터 시작하는 게 필요하다고 생각되며, 학교(또는 유치원)과 협력하여 아이의 인성적인 부분을 교육하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됩니다.

  • 안녕하세요. 최혜정 보육교사입니다.

    예절 교육은 3세부터 자연스럽게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 시기부터는 간단한 인사, 차례 기다리기, 감사 표현 등 기본적인 예절을 가르칠 수 있습니다. 놀이와 일상생활 속에서 꾸준히 반복하며 가르치면 효과적입니다. 다른 곳에서 예절을 가르쳐야 겠다고 생각하지 마시고 평소 집에서 예절과 함께 생활하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 식사를 할 때 부모님이 음식을 준비할 동안 아이가 숟가락 놓기, 부모님 출 퇴근 시 인사하기, 방 정리하기, 밥먹고 감사하다고 인사하기, 식사 할때 쩝쩝거리지 않고 먹는거야~ . 다른 사람들에게 피해를 주면 안돼. 등의 말로 부드럽게 알려주세요. 그리고 외식할 때도 식사예절을 가르쳐 주면 좋습니다. 밖에서는 시끄럽게 떠들지 않는거야~. 라고 알려줄 수 있으며. 평소 아이에게 존댓말을 가르쳐 주는 것이 좋습니다. 저는 아이가 듣고 배울 수 있도록 저도 아이가 어렸을 때 존댓말을 사용합니다. ' 이거 줄까요~? ' ' 뭐 먹고 싶어요?' 라는 등 아이가 존댓말을 많이 들어야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아이가 부모님께 말을 함부로 하지 않도록 어렸을 때 부터 말하는 방법을 알려주는 것이 좋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세상을 살아가는데 예절 교육이 꼭 필요합니다. 아이들 예절교육이 모범답안처럼 정해져있지는 않습니다. 생활속에서 자연스럽게 알아가도록 연습시켜주셔야 합니다. 최우선적으로 부모님께서 모범적인 모습을 보여주셔야 합니다. 동네의 이웃사람들에게 먼저 멋지게 인사하는 모습을 보여주시거나 할머니,할아버지를 잘 챙겨드리는걸 보고자라면 아이들도 그에 긍정적인 영향을 받을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정확한 나이가 있기 보다는

    말기를 알아듣는 시기부터 기본적인 예절 교육을 해야 합니다.

    3살부터는 식사습관, 생활습관 교육속에 예절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3~7살 유치원에서는 생활 속 기본예절에 대해서 배우고요(인사법)

    8살 초등학교 입학부터는 공공장소 예절, 대화 예절 등 좀 더 복잡한 예절 교육을 배워야 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들에게 예절 교육은 가능한 한 빨리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2세에서 3세 사이에 간단한 인사나 기본적인 규칙을 가르치기 시작하세요. 부모가 모범을 보이고, 일상에서 긍정적인 강화와 일관성 있는 규칙 적용을 통해 자연스럽게 예절을 익힐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중요합니다. 놀이와 대화를 활용해 아이들이 이해하고 내면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