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탄력성은 어떻게 구할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소득탄력성은 소득과 상호의존관계에 있는 경제변수의 의존성인데, 일반적으로 수요에 소득탄력성을 말하잖아요~ 그런데 소득탄력성은 어떻게 구할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소득탄력성은 일반적으로 수요의 소득탄력성을 의미하며 소득이 변화함에 따라 소비재 수요가 얼마나 변화는지를 나타내는 경제용어라고 볼수 있습니다.
소득탄력성 = 수요 변화량 / 소득 1% 변화금액 이런식으로 구할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소득탄력성이라고 하는 것은 소득이 변화하게 되는 경우 소비재 수요가 변화하게 되는데, 이경우 소득변화의 비율로 수요량 변화의 비율을 나누어서 산출을 하게 되는 것이에요
소득탄력성은 소득의 변화에 따른 수요의 변화량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소득탄력성 값이 양(+)의 값을 가지는 재화, 즉 소득이 증가할 때 수요가 증가하는 재화는 정상재라고 하며, 그 반대에 해당하는 재화는 열등재라고 합니다.
소득탄력성은 소비자가 상품을 구입할 때 가격이나 수요에 따라 달라지는 지표입니다.
소비자의 소득에 따라 수요의 변화를 측정하는데 의의가 있습니다.
소득탄력성은 간단하게 수요의 변화를 소득의 변화로 나누면 구할 수 있습니다.
소득탄력성이 1보다 크다면 소득과 수요는 증가하게 되고 반면에 1보다 작다면 소득과 수요는 감소하게 됩니다.
다만 소득탄력성이 1에 가깝다면 소득과 수요는 변하지 않습니다.
수요의 가격 탄력성은 각 요인들의 변화가 수요량이 얼마나 민감하게 반응하게 되는지를 나타낸 것입니다. 만약 1%의 가격 상승이 3%의 수요 감소를 일으켰다면 3의 가격탄력성을 가지게 된다고 봅니다. 이때 가격탄력성이 1보다 크면 탄력적이라고 보고, 1보다 작으면 비탄력적으로 봅니다.
소득탄력성의 정의는 소득의 변화율에 대한 수요량의 변화율입니다.
예를 들어, 소득이 10% 증가했을 때 특정 상품의 수요량이 15% 증가했다면,
이 값은 소득이 1% 증가할 때마다 수요량이 1.5%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질문해주신 수요의 소득탄력성 구하는 방법에 대한 내용입니다.
수요의 소득탄력성을 계산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eI = 수요량의 변화율 (%)/ 소득의 변화율 (%)
로 구하실 수 있습니다.
소득탄력성을 구하는 공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소득탄력성(e) = 수요량의 변화율(%) / 소득의 변화율(%)
여기서 수요량의 변화율과 소득의 변화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합니다.
수요량의 변화율(%) = (변화 후 수요량 - 변화 전 수요량) / 변화 전 수요량 × 100
소득의 변화율(%) = (변화 후 소득 - 변화 전 소득) / 변화 전 소득 × 100
(예) 어떤 상품의 가격이 1,000원이고, 소득이 100만원일 때, 수요량이 10개였다고 가정하면
만약 소득이 120만원으로 증가하고, 수요량이 12개로 증가했다면, 이 경우의 소득탄력성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수요량의 변화율(%) = (12 - 10) / 10 × 100 = 20%
소득의 변화율(%) = (120 - 100) / 100 × 100 = 20%
소득탄력성(e) = 20% / 20% = 1
예에서는 소득탄력성이 1로, 소득이 1% 증가할 때 수요량도 1% 증가합니다.
소득탄력성은 소득이 변할 때 어떤 물건의 수요가 얼마나 변하는지를 알려주는 숫자입니다. 이 숫자는 수요의 변화율을 소득의 변화율로 나눠서 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소득이 10% 오를 때 어떤 물건의 수요가 5% 증가하면 그 물건의 소득탄력성은 0.5가 됩니다.
안녕하세요 최진솔 전문가입니다
이에 대하여는 아래의 공식에 따라 계산됩니다
다만, 이에 대한 변수의 경우 통계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는 점 참고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