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알뜰한참매216
알뜰한참매216

도시에 말똥가리가 참매보다 적게 나타나는 이유

요즘은 참매가 산과 숲을 넘어 도시의 건물과 전봇대, 나무 사이에서도 쌩 날아와 앉더라고요.

하지만 말똥가리가 도시에 나타날 때는 까치와 까마귀에 쫓겨 논두렁이나 강 근처에 아파트로 피신을 할 때 뿐이었죠.

참매는 겨울바람을 타고 도시의 공원에서 와도 비둘기를 잘 잡아먹더니만 사람이 있어도 적응을 잘 하더러고요.

그런데 왜 말똥가리는 겨울바람을 타고 논두렁 위만 날고 쥐와 곤충을 잡아먹을 때 이외에 도시에 나타나는 경우가 드물어요?

참매보다 더 강한 경계심 때문이었나요?

밖이 트인 공간에 사는 맹금류여서 평소보다 점점 예민해졌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말똥가리는 주로 벌레나 작은 동물을 잡아먹는데, 도시화로 인해 녹지 공간이 줄어들고 농약 사용이 증가하면서 먹이가 부족해졌습니다. 반면 참매는 비교적 다양한 먹이를 섭취할 수 있어 생존에 유리합니다.

    또한 말똥가리는 둥지를 트는 데 안정적인 환경이 필요하지만, 도시에서는 높은 건물과 소음, 인간의 간섭 등으로 인해 번식이 어려워졌으며, 은신처도 필요하지만, 도시에는 이러한 공간이 부족하여 포식자에게 노출될 위험이 높습니다.

    그리고 말똥가리는 주로 개방된 공간에서 낮은 고도로 비행하며 먹이를 찾는 반면, 참매는 높은 곳에서 급강하하여 먹이를 사냥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도시 환경은 참매의 사냥 방식에 더 적합할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도시에서 말똥가리가 참매보다 적게 나타나는 것은 도시 환경이 말똥가리 보다는 참매에게 더 적합한 환경이기 때문입니다.

    1명 평가
  • 말똥가리가 도시에 적게 나타나는 이유는 서식 환경과 먹이 습성의 차이 때문입니다. 말똥가리는 주로 트인 공간에서 작은 포유류나 곤충을 사냥하며, 도심에서는 먹잇감 확보가 어렵고 방해 요소가 많아 적응하기 어렵습니다. 반면 참매는 숲과 유사한 구조인 도심 공원이나 건물 사이를 날며 비둘기 같은 먹이를 사냥하기에 적합하고, 사람에 대한 경계심도 상대적으로 낮아 도시 환경에 잘 적응합니다. 따라서 말똥가리는 도심의 환경이 생존에 적합하지 않아 참매보다 드물게 나타납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