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기타 육아상담

헌신하는흰죽지129
헌신하는흰죽지129

몇개월 뒤면 밤에 안깨고 잘자까요?

모유 수유중인데..금방깬다고해서


밤에는 분유 수유중이에요..


이런방법이 밤에 푹 잘수있다고 하는데 소용이 없네요


좋은방법있으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생후 100일을 기점으로 통잠에 성공해서 흔히 100일의 기적이라 부릅니다. 아이는 통상 3개월 이후에 조금씩 낮과 밤을 구별하게 되는데요 아이가 몇개월인지 모르겠으나 좀만 참고 기다려 주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수면은 아이의 성향에 따라서 다를수있습니다

      다만 아이가 자기전에 따뜻하게 씻겨주고 마사지를 해주고 스킨쉽을 해주면서 안정감을주고 이완시켜준다면

      수면을 조금더 오래하는데 도움이될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마다 통잠을 자는 시기는 모두 다릅니다.

      보통의 경우에는 생후 6개월을 넘어서는 아이들이

      통잠을 자는 경우가 많으니 그 떄까지는 힘드시겠지만

      참아보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우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분유가 모유보다는 아기에게 더 포만감을 줘서 푹 잘 수 있다는거에요.

      아기가 지금은 몇 개월인지 모르겠지만 신생아 시기는 아직 밤과 낮을 구분 할 수 없답니다.

      그래서 아기가 새벽에도 깨는거구요.

      보통 빠르면 50일 이후에도 7~8시간 자는 아이도 있고, 100일 이후에 통잠을 자는 아이도 있습니다.

      하지만 100일 이후에도 통잠을 못자고 새벽에 한 번씩 깨서 수유를 해야 할 수도 있어요.

      그건 아이들마다 다르답니다^^ 시간이 지나면 저녁 7시, 8시부터 다음날 아침까지 자는 기적이 오니 조금만더 힘내세요! :)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개월수가 어떻게 될까요?

      신생아라면, 보통 한 두시간 마다 자다가 깬답니다.

      길게 자야 3시간 정도 잡니다.

      아가가 4시간 이상 깨지 않고 자게 되면, 탈수증이 올 수 있으니 너무 오랫동안 자는 것도 좋지 않습니다.

      아이가 어느정도 개월 수가 되면, 수면 습관을 잘 들이게 되면, 통잠도 자게 되니 그 때는 부모님이 조금 편할 것입니다.

      아이의 통잠을 재울려면 조금 더 아이가 크면 올바른 수면 습관을 들이도록 규칙적인 수면 시간을 정하는 게 중요합니다.

      매일 같은 시간에 같은 순서로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매일 같은 시간에 목욕을 합니다

      목욕이 끝난 후 아기 마사지를 동일한 순서로 하는 거지요

      잠자는 신호로 똑같은 자장가를 불러 주는 것도 중요합니다

      잠자는 활동을 마치면 끝났다는 신호를 매일 똑같이 아기에게 준 후 불을 끄고 재워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일권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흔히 말하는 통잠을 자는 시기는 아이들마다 차이가 큽니다.

      보통 50일의 기적, 100일의 기적 이라고 부르는데 늦어도 100일 쯤에는 통잠을 잡니다.

      아이가 숙면을 취할 수 있게 22도와 습도 50%를 유지해주시고 소음 관리를 잘 해주세요.

      하지만 아무리 노력해도 시기가 안된 아이들은 잠에서 깹니다. 결국 시간이 해결해줍니다.

    • 안녕하세요. 성문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마다 다르기때문에

      몇개월뒤면 푹잘거에요

      라는 희망찬 말을 해드리기는 어렵습니다

      다만 아이의 잠자리를 편안하게 해주시고

      소음이나 불빛을 잘 차단하고

      온도나 습도를 잘 유지하시는 것이 좋를 것 같네여

    • 안녕하세요. 박상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마다 100일의 기적으로ㅠ통잠을 자는 아이들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아이들도 있습니다

      매우 힘드시겠지만 최대한 소음을 줄이는 수밖에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성향에 따라 빠른 돌이 지나기 전부터 통잠을 자는 아이가

      있는 반면에 5-6세가 되어도 통잠을 자지 않는 것은 물론 부모와 떨어지게

      되면 잠을 못자는 아이들도 있습니다.

      아이의 성향이기에 어렵지만 인내하시고 시간이 흘러가길 기다리는 것이 좋을 듯 싶습니다.

      시간은 금방 지나갑니다. 참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