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므싯는김뱁새
므싯는김뱁새

주식세금에 관하여 기준이 궁금합니다

제가 주식 소소하게 하고있는데

모르는부분이있습니다.

주식에 대한 세금은 예를들어 55만이던게 62가되서 판다면 그건 차익인 7만원이 세금기준인건가요?

62만 매도하면 1주 전체를 기준인건가요?

국내주식과 해외주식 기준으로 알고싶습니다.

투자금이 크지않아서 기준을 알게되면 맞춰보고싶습니다.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주식 세금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단 국내 주식은 대주주가 아닌 이상 양도소득세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해외 주식에 직접 투자해서 250만원 이상 소득이 발생되면

    양도소득세를 내셔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국내주식은 매매차익에 세금이 없고, 해외주식은 차익 전체(매입가→매도가) 기준입니다.
    예를 들어 55만원 매수가 62만원에 팔리면 7만원이 과세 대상 차익입니다.
    해외주식은 연 250만원 공제 후 22% 금융소득세가 부과됩니다.

  •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

    세금 기준은 차익(7만원)입니다.

    매수가 55만원, 매도가 62만원일 경우 세금 과세 기준 금액은 차익 7만원입니다.

    국내주식 세금 : 양도소득세 면제

    해외주식 세금 : 양도소득세 과세, 15.4% 배당소득세 원천징수

    결론

    투자금이 크지 않다면 국내주식은 세금 부담 없이 차익 7만원 전액 실현 가능하지만,

    해외주식은 15.4% 세율 적용 시 약 1만원 세금 발생합니다. (7만원의 15.4%)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국내 상장 주식의 경우 개인 투자자가 소액으로 투자하는 대부분의 상황에서는 주식 매도로 인한 시세차익(양도차익)에 대해 양도소득세가 부과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해외 주식의 경우는 이야기가 달라지는데, 55만 원에 매수해서 62만 원에 매도하여 얻은 차익인 7만 원은 양도소득에 해당하며, 연간 해외 주식 양도차익의 합계가 기본 공제액 250만 원을 초과할 경우 초과분에 대해 22%(양도소득세 20% + 지방소득세 2%)의 세금이 부과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