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모비스이외 주요 자동차부품업체들이 왜 품질관련비용이슈가 지속적으로 발생되는건가요?
현대모비스는 이번에도 완성차대비 최대 매출을 달성하였지만 상대적으로 순이익의 부진한 실적의 원인이 또다시 품질관련비용이슈로 실적이 좋지 않았다고 하는데요. 이는 몇년째 지속적으로 발생되고 있는데 이는 현대모비스 이외에도 주요 글로벌 자동차부품업체인 발레오나 컨티넨탈등도 발생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이 품질관련비용이 무엇이고 관련된 이슈가 무엇이길래 이렇게 실적의 발목을 잡는지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전문가입니다.
현대모비스가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정체) 영향을 받아 4% 안팎의 낮은 수익성이 장기화하고 있습니다. 모듈 및 부품사업에선 완전히 검증되지 않은 전동화 관련 신제품의 신차 적용이 확대되면서 글로벌 부품사 대부분에서 품질비용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먼저 품질 관련 비용이란 직접적인 비용외 불량 감소를 위해 사용되는 비용 일체를 말하는데요.
구분을 하자면, 예방비용(불량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비용), 평가비용(부적합품을 제거하는데 드는 비용), 실패비용(제품 완성 후 불량품에 발생되는 비용)이 있습니다.
이렇게 품질 관련 비용이 증가할수록 제품의 품질은 향상되지만, 해당 비용을 무한히 증가시키면 기업의 수익률은 낮아지고 기업을 운영하기 어려워질 수 있기에 적당선에서만 비용을 투입하는데 그렇게되자 품질 관련 이슈가 끊이질 않고 있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품질관련 비용에 대한 내용입니다.
품질관련 비용이란 제품 및 서비스에서 불량이 발생하지 않게 하도록
예방하는 것에 들어가는 일체의 비용을 의미합니다.
안녕하세요. 장수한 경제전문가입니다.
현대모비스의 경우, 금번 품질비용이 800억원, 초기 공장 가동 관련 비용이 150억원 가량 발생하면서 모듈 및 핵심 부품의 적자 폭을 확대했다고 합니다.
이러한 비용을 제외하더라도 영업 적자는 900억원으로 현대차그룹의 물량 감소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입니다.
여기서 품질 비용이란, 제품 및 서비스에 불량품이 발생하지 않도록 예방하는 일체의 비용을 말합니다.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것을 보니 내부적인 품질 이슈가 있지 않을까 사료됩니다.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현대모비스와 같은 자동차 부품업체의 품질관련 비용은 차량의 품질 문제와 결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수리비, 리콜 비용, 보증 비용 등을 포함합니다. 이러한 비용은 차량의 신뢰성과 관련된 문제로 인해 발생하며 현대모비스뿐만 아니라 글로벌 부품업체인 발레오와 컨티넨탈 등도 같은 문제를 겪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품질관련 비용은 매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수익성을 저하시키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