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화학

튼튼한쭈꾸미288
튼튼한쭈꾸미288

드라이아이스를 물에넣으면 왜 보글보글하나요?

가끔 마트배송시킬때 드라이아이스가오면 물속에 넣어 아이들한테 보여주곤하는데요

드라이아이스를 물에 넣으면 왜 연기가 발생하나요?

또 물에 어느정도 넣어놓고 시간이지나면 연기가 나오지 않는데 그건 왜그런거죠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한만전 과학전문가입니다.


      드라이아이스는 이산화탄소를 고압으로 압축하여 액화 시킨후 팽창시켜 만든 냉매 물질 입니다.약 영하 80도에 이르는 극저온 물질 입니다.


      <사용에 주의할점>


      1.취급시 맨손으로 만지지말것


      2.절대로 뜨거운 물에 넣지 말것,폭발위험 있음.극저온 이므로 따뜻한물과 만날시 물질의 온도차로 폭발 할수 있음.


      3.맨손으로 만져 빨갛게 되거나 피부가 벗겨졌을때 화상이 아니고 동상 이므로 따뜻한물에 담가 피부 온도를 높여 줄것. 화상으로 착각할수 있음 .주의할것.


      4.드라이아이스에서 나오는 안개같은것은 주위의 수증기가 급속히 얼어 발생한 수분이므로 인체에 무해함. 냉동고 열면 냉기나올때 나오는 안개와 동일한 것임.

    • 드라이아이스를 물에 넣으면 물과 드라이아이스 사이에서 이산화탄소 가스가 발생하며 보글거리는 현상이 일어납니다. 이는 드라이아이스가 매우 낮은 온도(-78.5°C)에서 이산화탄소 고체를 포함한 가스 상태로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드라이아이스가 물과 반응하면 이산화탄소 가스가 발생하며 물 온도와 압력에 따라 보글거리는 정도가 달라집니다. 시간이 지나면 드라이아이스가 완전히 증발하고 이산화탄소 가스도 빠져나가게 되므로 연기가 나오지 않게 됩니다. 그러나 반드시 안전하게 다루어야 하며, 너무 많은 양을 한꺼번에 사용하거나 닫힌 용기에 사용하면 폭발 위험이 있으므로 조심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신정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드라이아이스는 이산화탄소를 압축 냉각하여 만들었고 -78.5℃입니다. 그리고 우리가 생활하는 대기압에서는 액체를 거치지 않고 바로 고체에서 기체가 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를 승화라고 해요.

      반면 물은 보통 24~27℃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드라이아이스보다 높은 온도에요. 즉, 드라이아이스 입장에선 물이 굉장히 뜨거운 존재입니다.

      그래서 드라이아이스를 물에 넣으면 드라이아이스가 물의 열을 빼앗아 빠르게 기체가 됩니다.

      궁금증이 해결되었으면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민형 과학전문가입니다.

      드라이아이스는 이산화탄소가 얼어 고체가 된 상태이므로 물에 넣게 되면 바로 기체가 되어 버리는데 (승화), 이때 물 속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기체가 연기처럼 보이는 것입니다.

      시간이 지나면 승화가 끝나서 더 이상 기체가 발생하지 않게 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채택해주세요 :)

    • 안녕하세요. 이성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드라이아이스는 이산화탄소를 낮은 온도로 얼려 고체의 형태로 전환한 것 입니다.

      드라이아이스가 물 속에서 반응하며 이산화탄소 (기체)로 변하게 되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