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이러쿵저러쿵
이러쿵저러쿵

정말 노화를 없애는 기술이 생기기는 할까요?

노화가 없어지는 기술을 만들고 있다고는 하는데, 정말 그게 가능할까요? 듣기로는 DNA를 때가지고 붙힌다음에 뭐 한다는데 맞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세포가 분열할때마다 유전자의 텔로미어부위가 점점 짧아지다가 더이상 짧아지는것이 불가능해지면 세포분열이 일어나지 않고 사멸합니다.

    그래서 이 텔로미어가 짧아지지 않거나 느리게 짧아지게하거나, 원래 텔로미어의 길이를 길게 만드는 등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 현재로서는 노화를 완전히 없애는 기술은 아직 개발되지 않았습니다. 노화는 여러 요인에 의해 발생하며, 현재까지 연구된 바로는 노화를 완전히 막거나 되돌릴 수 있는 방법은 없습니다

  • DNA사슬 끝자리에 텔로미어가 있는데 이게 짧아지는 현상이 노화과정중에 발견되어 이걸 연장하면 노화과정을 역행하지 않을까? 라는 가정에서 연구되고 있습니다.

    다만 노화는 텔로미어 단일요인에 의해 일어나는건 아니기에 젊어진다고 장담할 수는 없습니다.

  • 노화를 억제하거나 오히려 젊어지게 한다는 역노화 기술은 현재에도 생명과학 분야에서 가장 핫한 분야 중 하나일겁니다.

    유전자 발현조절을 통한 세포 역노화 기술로, 야마나카 신야라고 하는 박사는 다 성장한 세포를 어떤 세포로든 발달시키는 유도만능줄기세포로 재분화시킬 수 있는 4가지 '야마나카 인자'를 발견하여 노벨생리의학상을 수상하기도 했습니다.

    또 아마도 현재 역노화와 관련해 가장 핫한 인물인 데이비드 싱클레어 하버드대 의대교수는 노화를 질병으로 규정하여 노화는 치료 가능한 범주에 속해있으며 곧 인간이 노화를 컨트롤할 수 있는 시대가 올 것이라 주장했습니다. 관심 있으시다면 이 의대교수가 쓴 노화의 종말이라는 책 읽어보시길 추천드립니다.

  • 초고령화 시대에 대응해 노인성 질환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기술과 함께 노화 세포의 특징을 인지해 노화 세포를 직접 없애는노화 및 역노화 기술 개발되었다고 합니다. 하지만 아직 상용화 단계는 아닌만큼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보입니다.

PC용 아하 앱 설치 권유 팝업 이미지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
starbucks
앱 설치하고 미션 완료하면 커피 기프티콘을 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