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환경·에너지

청렴한치타291
청렴한치타291

엔탈피 때문에 외기냉방을 한다가 무슨말인가요?

공기조화 운전을 함에 있어서

혹서기나 혹한기 , 일반 여름 겨울은

당연히 외기도입을 통한 운전은

이산화탄소 농도를 위함이 아니고서는

에너지절약을 위해

외기투입을 잘 하지 않습니다.

외기를 통한 실내 환기 및 온도조절은

주로 봄 가을 시기인데요.

일반적으로 실내보다 실외가 온도가 낮으므로

실내 온도가 올라가면

외기투입으로 적정온도를 유지하는데요

그 기준이

단순히 온도만 보고 책정하는것이 아니라

외기의 엔탈피를 보고 한다는데

실내가 26도에 외기가 24.5도라면

당연히 투입해서 온도가 낮아질거라 예상되나

실제로 외기엔탈피 상으로

실내 엔탈피 보다 높다면

이건 냉방효과를 볼 수 없다는 건

어떤 원리 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열역학적 원리에 의해서 열이 높은 엔탈피에서 낮은 엔탈피로 이동하는 것인데요. 냉방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외부 공기의 엔탈피가 실내 공기보다 낮아야 합니다. 그래야 열이 실내에서 외부로 이동하여 실내 온도를 낮출 수 있는데, 외기 엔탈피가 실내 엔탈피보다 높다면, 냉방 시스템이 열을 외부로 방출하지 못해 냉방 효과를 볼 수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문가 김찬우 입니다.

    엔탈피는 일정압력에서 전체에너지를 표현하는 열역학 단위 입니다. 상태 함수이며 열 전달과정에서 사용됩니다.

    외부의 엔탈피와 실내의 엔탈피 차이로 인해 공기가 이동하는 것은 아닙니다. 공기의 이동은 온도나 기압차이로 이동을 하게 됩니다. 온도가 낮은 곳에서 높은곳으로 바람이 불고 기압은 고기압에서 저기압으로 흐르게 됩니다.

    에너지를 받아 온도가 올라간 공기 분자가 활발히 이동을 하게 되면 밀도는 낮아지게 되고 이때 기압은 낮아지게 됩니다(저기압). 반대로 에너지를 뺏겨 온도가 떨어진 공기분자는 활동성이 떨어져 공기의 밀도는 높아지게 되고 기압은 올라가게 됩니다(고기압)

    외부의 온도가 낮고 내부의 온도가 높은 경우 온도와 기압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에 실외의 공기가 실내로 들어오게 되는것입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 추가로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댓글달아주시면 답변 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