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어중 한자가 절반이상 차지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고등학교때 제2외국어로 일본어를 공부했었는데요. 한자어도 함께 공부해서 더 어려웠던 기억이 있습니다. 이처럼 일본어에 한자어가 비중을 많이 차지하고 있는 역사적 원인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한음은 7세기에서 9세기, 즉 나라 시대 후기에서 헤이안 시대 초기 사이에 견수사, 견당사나 유학승 등에 의해서 전해진 한자음을 말합니다.
일본에서는 중국의 제도와 문화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이기 위해, 지속적으로 중국으로 사신을 보내서 교류를 시도했습니다. 당시에 한자음으로서 오음을 사용하고 있던 사신들은 의사소통을 더 원활히 하기 위해서 장안의 한자음을 새로 도입해야 할 필요성을 느꼈고, 이에 일본은 장안의 한자음을 '한음'이라고 부르며 한음의 보급에 힘썼기때문에 한자가 절반이상을 차지하는것이라 볼 수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일본 말의 어휘 안에 한자가 절반이상 차지하는데 이는 일본에서도 일찍부터 한자를 빌어 써온데서 나온 현상입니다.
일본 말 안에 한자어가 대폭 증가한 것은 19세기 후반 명치유신이라는 시기 일본에서 서구 문명을 적극적으로 수용했고 이에 따라 서구어를 번역한 어휘가 대량으로 쓰이게 됩니다.
이들 어휘는 이미 중국에서 서양 선교사들이 전역하여 한영, 영한사전에 등에 수록한 것을 이용, 한학의 소영이었던 일본의 지식층이 중국의 고전에서 쓰였던 어휘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해 이들을 새 번역어인 신어로 사용했습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일본어도 중국어의 한자 문화권에서 만들어진 언어 입니다. 우리말에도 한자어가 많이 녹아 있듯이 일본어 또한 마찬 가지 입니다. 한자어가 아니고는 그 의미를 표현 하기가 어려 웠습니다. 그래서 한자어가 일본어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게 된 것 입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한국과 일본 모두 중국으로부터 대부분의 문화가 들어왔기 때문에 언어역시도 중국의 영향을 받은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이병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일본 한자음은 그 음이 중국에서 유입된 시기에 따라 오음, 한음, 당음으로 나뉩니다.
이것을 메이지 유신 이후 서양 문물 개념을 대량으로 번역하는 과정에서
일본식 한자어로 통일하여 만든 한자어, 신한어가 일본식 한자어입니다.
일본은 서양의 단어를 한자로 번역하여 일본식 한자어로 사용하기 때문에 일본어에는 한자가 많은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동북아시아는 한자문화권으로 중국 한국 일본이 여기에 해당합니다. 우리나라 말에도 한자가 80%에 달할 정도로 한자영향이 지대하였습니다. 얼마 전 논란이 되었던 심심한 사과 또한 한자를 해석하지 않고 그대로 받아들이면서 일어난 어처구니 없었던 일이었습니다. 일본 역시 한자문화권으로 중국과 우리나라의 영향을 받았기 때문에 한자를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