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이승만 대통령은 하야를 왜한거죠? 안했어도 되는거 아니었나요?
우리나라 초대 대통령인 이승만 대통령은 하야를 선택해서 스스로 대통령의 자리에서 물러났는데 왜 하야를 선택한건가요? 본인이 원했으면 계속 대통령자리를 유지할 수 있었던거 아닌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이승만 대통령은 1948년 남북협상파 등 통일 정부를 주장하는 인사들의 불참한 가운데 구성된 제헌국회에서 대통령에 당선될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친일파 처리 미흡, 경제 정책 실패 등으로 민심을 잃어 1950년 5월 2대 국회에서는 반이승만 국회의원들이 대거 국회에 진출하였습니다. 당연히 국회에서 대통령을 선출하면 1952년 2대 대통령 선거에서 낙선되는게 확실했습니다.
그러나 이승만과 자유당은 6.25 전쟁 중에서 부산에서 1952년 불법적으로 발췌개헌을 통과시켜 2대 대통령에 당선되고, 1954년 사사오입개헌을 통해 독재를 연장했습니다.
그러나 1960년 3월 15일 4대 대통령 선거(당시 이승만 대통령의 나이는 85세)에서는 조직적 부정선거를 자행했으며,이를 참다못한 학생들과 시민들이 4.19혁명을 일으킵니다. 당시 이승만 대통령은 계엄령을 선포하여 국민을 상대로 전쟁을 선포했지만 계엄군마저 국민들을 상대로 총을 쏠 명분이 없다고 선언하자 더 이상 권력을 유지할 없다고 판단하여 4월 26일 하야하고 하와이로 망명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