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전도체는 어떻게 움직이는 건가요?
마이스너 효과 때문에 양자고정 현상?이 일어나서 초전도체 위에서 자석이 완전히 고정되잖아요 근데 유튜브같은데서 영상을 보면 막 손으로 밀어서 앞으로 가게도 하는것 같이 힘을 받으면 그 방향대로 움직이는데 양자 고정 현상?인가 뭔가 때문에 말 그댜로 고정되잉서야되는거 아닌가요?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마이스너 효과는 초전도체가 내부에서 자기장을 방출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며 이 방출은 초전도체가 자석 위에있을 때 양자 잠금 현상을 일으키게 됩니다.- 양자고정 현상, 또는 플럭스 피닝 현상은 초전도체가 자석 위의 공간에 고정되는 현상이며, 이 현상은 마이스너 효과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지만 결정적인 차이점이 있는데,마이스너 효과에서는 자기장이 초전도체 안에 들어올 수 없지만, 양자고정 현상의 경우에는 선속을 고정시켜서 초전도체가 한 자리에 가만히 있게 됩니다. - 그러나 양자고정 현상은 완벽하지 않습니다. - 즉, 외부에서 어느정도 힘을 가하면 초전도체가 움직일 수도 있습니다. 이것은 '플럭스 크리프'라고 불리는 현상 때문으로 자기장이 초전도체 내부의 플럭스를 움직이게 만듭니다. 따라서, 말씀하신대로 유튜브에서 본 것처럼 손으로 밀어서 초전도체를 움직이게 할 수 있는 것입니다. - 다만, 그 움직임은 제한적이며, 힘이 없어지면 다시 원래 위치에 고정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조사를 해본 결과 마이스너 효과 때문에 초전도체 위에서 자석이 완전히 고정되는 것은 맞습니다. 그러나, 자석을 밀어서 앞으로 가게 하는 것은 마이스너 효과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 마이스너 효과는 초전도체가 전기저항이 0이 되면서 자력선을 내쫓는 현상입니다. 이로 인해 초전도체 위에서는 자력선이 완전히 밀려나고, 자석은 초전도체 위에서 떠 있게 됩니다. - 그러나, 자석을 밀어서 앞으로 가게 하는 것은 자력선이 밀려나지 않고, 자석이 초전도체 위에서 움직이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경우는 마이스너 효과와는 관련이 없으며, 자석의 자력선이 초전도체의 표면을 따라 움직이면서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해 움직이게 됩니다. - 즉, 마이스너 효과는 자석을 고정시키는 현상이지만, 자석을 움직이게 하는 것은 마찰력에 의한 것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추천 부탁드립니다. ^^ 
- 안녕하세요. 박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 초전도체는 전기 전류를 흐르게 할 때, 특정 온도 이하에서 전기 저항이 없어지는 현상을 보입니다. 이러한 현상은 영유체인 페어링된 전자들이 질량이 없는 보증된 상태로 움직이면서 발생합니다. 초전도체의 동작 원리에 대해 간단히 설명드리겠습니다: - 영유체와 페어링: 초전도체의 핵심은 영유체입니다. 영유체란 일련의 원자나 분자들로 구성된 물질로, 일정한 온도 이하에서만 특별한 성질을 나타냅니다. - 초전도체가 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매우 낮은 온도, 즉 저온 상태가 필요합니다. 
 
- 로젠필드-쿠퍼 쌍 (Cooper Pairs): 초전도체에서 전기 전류를 운반하는 입자는 로젠필드-쿠퍼 쌍이라고 알려진 전자들의 결합입니다. - 로젠필드-쿠퍼 쌍은 자기장에 의해 상호 작용하여 서로 미세한 진동을 유발시키며, 이를 "진동자"라고 합니다. 
 
- 저온과 입자간 상호작용: 초전도체에서는 매우 낮은 온도에서만 로젠필드-쿠퍼 쌍이 형성됩니다. - 낮은 온도에 있으면 입자들 사이의 장벽인 "결정 격자"가 진동하지 않으므로 에너지 손실 없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습니다. 
 
- 제로 저항: 로젝플트-쿠퍼 쌍으로 구성된 입자들은 충돌하지 않고 장벽을 통과할 수 있으므로, 외부에 가해지는 전압 또는 자기장에 대한 저항력(전압 손실)가 거의 없습니다. - 따라서, 초전도체 내부를 통과하는 전류는 제로 저항(zero resistance)을 가지며 에너지 손실 없이 계속해서 움직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 네 맞습니다. 양자고정현상으로 인해 밀어도 움직이지 않고 딱 고정되게 되죠. -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