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LS 낙인을 터치한다면 기준점보다 높아도 손실이 발생하나요?
ELS 유형 중 낙인이 있는 ELS는 낙인을 터치하지 않는다면 수익률 보장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ELS 낙인을 터치한다면 기준점보다 높아도 손실이 발생하나요?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만에하나 낙인을 터치하더라도 이후 조기상환예정일이나 만기일에 상환 기준점을 넘긴다면 원금 + 수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만기까지 상환기준점을 넘기지 못해서 원금 손실이 발생했다면 하락률이 큰 기초자산 하락률만큼 손실이 확정됩니다. ELS는 만기에 지수가 얼만큼 회복되느냐에 따라 손실폭이 줄어들 확률이 있습니다.
1명 평가ELS에서 '낙인'은 기초 자산이 일정 수준 이하로 떨어졌을 때 발생하는 조건입니다.
낙인 조건을 터치하지 않으면 기초 자산이 기준점보다 조금 낮더라도 약정된 수익률이 보장됩니다.
그러나 낙인을 터치한 경우 만기 시점에 기초 자산이 기준점보다 낮으면 원금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낙인을 터치했더라도 만기 시점에 기초 자산이 기준점보다 높다면 손실은 없지만 약정된 수익률 보장은 없습니다.
낙인이 발생하면 손실 가능성은 커지지만 만기 결과에 따라 손익이 결정됩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ELS 낙인을 터치하게 된다면 기준점 보다 높아도 손실이 발생하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예, 일단 ELS의 손실 기준이 낙인 터치이기 때문에 손실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ELS에서 낙인을 터치한다는 것은, 해당 주식이나 지수가 미리 정해둔 낙인 가격 이하로 한 번이라도 내려간 것을 의미합니다. 만약 낙인을 터치하게 되면 만기 시점에서 주가가 기준점보다 높더라도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낙인을 터치한 경우 원금 보장 조건이 사라지고 투자한 주식의 실제 변동에 따라 손실이 결정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낙인 터치 후에는 원금 손실 가능성이 커질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