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사군자(매난국죽)가 군자로 불리는 이유가 무엇인지 그 유래가 궁금합니다.
한자문화권에서 매화, 난초, 국화, 대나무 네가지의 식물을 일컫어 사군자라고 부르는데 이 식물들이 학식과 인품, 덕이 높은 사람을 가르켜 부르는 군자라고 쓰이게 된 이유가 무엇인지 그 유래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군자(君子)는 유교에서 '성품이 어질고 학식이 높은 지성인'을 일컫는 말입니다. 춘추 전국 시대에는 에는 높은 벼슬을 한 사람을 부르는 말로도 쓰였다고 하지요. 군자는 '많은 지식을 갖고 있으면서도 겸손하고, 선한 행동에 힘쓰면서 게으르지 않은 사람을 군자라고 한다' 고 하였으며, 《논어論語)》 〈이인편(里仁)〉에는 '군자는 어떤 것이 옳은 일인지 잘 알고, 소인은 어떤 것이 이익인지 잘 안다. 군자는 어찌하면 훌륭한 덕을 갖출까 생각하고, 소인은 어찌하면 편히 살 것인가 생각한다'는 말로 군자를 정의하였습니다. 이 네 가지 식물은 일반적으로 전통적인 수묵화를 통해 묘사되며 중국 미술의 새와 꽃 그림 분류에 속하지요. 문학적, 예술적 작품에서의 이미지로서 자연을 광범위하게 사용함에 따라, 사군자는 중국 전통에서 가치 있는 다른 미덕들 중에서도 정직, 순결, 겸손,인내의 상징이 되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