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들에게 많이 있는 수족냉증은 무엇을 말하나요?
사람들이 많이 앓고 있는 수족냉증도 질병인가요?
그리고 수족냉증은 사람들에게 어떤 것이며,
살면서 사람들에게 어떤 영향을 주는지 궁금합니다.
수족냉증은 사실 의학적으로는 큰 의미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손과 발이 차가운 편인 상태. 정도로 생각하면 개인차에 따라 나타날수 있다고 보며 특별한 치료가 필요하지는 않습니다.
병적으로 발이 차가워지는 경우는 말초혈관이 막히는 등의 경우가 있는데, 수족냉증은 그런 상황은 아니라고 봐야겠습니다.
수족냉증은 추위를 느끼지 않을 온도에서 손이나 발이 지나치게 차가운 상태를 말합니다. 다만, 다른 질병에서 생기는 다양한 증상들 중 하나로서의 수족냉증과는 구별해야 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수족냉증이 문화적으로도 많이 언급됩니다. 수족냉증이란 증상만으로 단순히 추위에 민감하다거나 혈액순환이 잘 안 된다거나 비위의 기운이 부족하다고 해서 영양제나 혈액순환 개선제를 근거 없이 복용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수족냉증의 증상은 추운 곳뿐만 아니라 따뜻한 곳에서도 손발이 시리고 차갑습니다.
손발이 차가운 것이 주된 증상이지만, 무릎이 시리거나 아랫배, 허리 등 다양한 부위에서도 냉기를 느끼기도 합니다. 여름에도 양말을 신고 잠을 자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남성보다 여성, 특히 출산을 한 여성이나 40대 이상의 중년 여성에게 더 많이 나타납니다. 이는 여성의 호르몬 변화가 남성보다 크기 때문이며, 정서적으로 긴장을 많이 하고 예민한 여성의 특성 때문이기도 합니다.
수족냉증의 원인 질환으로 가장 흔한 레이노 현상은 추위나 스트레스에 의해 혈관이 과도하게 수축되어 처음에는 손이 하얗게 변하고, 이후 파랗게 변하며, 마지막으로 혈관 확장 작용에 의해 손가락이 붉게 변하면서 소양감이나 통증이 동반되는 현상입니다. 레이노병은 주로 젊은 사람에게서 발생하며, 가족력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수족냉증의 원인은 아직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대체로 추위 같은 외부 자극에 교감신경이 예민해져 혈관이 수축되면서 말초 부위에 혈액 공급이 줄어 냉기를 느끼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호르몬 변화나 스트레스도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수족냉증을 진단하는 특별한 방법은 없으나, 다른 질병과 감별하기 위해 손발의 감각 저하, 통증, 피부 색깔 변화를 검사합니다. 손이 자주 저리면서 체온과 손발의 온도차가 2도 이상 나고 피부가 푸르게 변하면서 통증이 동반되면 레이노 증후군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치료는 증상의 정도를 줄이고 조직 손상을 막는 것이며, 원인 질환이 있을 경우 이를 치료하는 것입니다. 생활 습관 교정이 가장 중요합니다. 손발뿐만 아니라 몸 전체를 따뜻하게 하고, 여러 겹의 느슨한 옷을 입으며, 겨울철에는 모자, 귀마개, 목도리, 따뜻한 양말, 장갑 등을 착용합니다. 세수나 설거지할 때 찬물을 피하고, 단열이 되는 컵을 사용하며, 손발에 상처가 나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감정적 스트레스를 피하거나 조절하는 능력을 키우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흡연은 금기이며, 간접 흡연도 피해야 합니다. 운동은 체력을 증가시키고 혈액 순환을 좋게 하므로 권장됩니다. 바이오피드백 치료는 혈관 이완을 도와줄 수 있습니다. 수족냉증 자체는 진행하거나 합병증을 유발하지 않지만, 다른 질병의 증상으로 나타나는 경우 해당 질병의 경과와 합병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예방 방법은 추위를 피하고 손발을 따뜻하게 유지하는 것입니다. 생활 가이드로는 차가운 물에 손발을 노출하지 않도록 주의하고, 운동과 반신욕, 족욕 등을 통해 혈액 순환을 촉진하는 것이 좋습니다. 담배를 피우는 사람은 끊고, 꽉 조이는 의류는 피하며, 스트레스 관리를 위해 심호흡을 하거나 충분한 숙면을 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하단의 추천 버튼을 눌러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