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에보이는 구름은 어떻게 만들어지나요
하늘에보면 맑은 날씨 흐리날씨 할것없이. 항상 구름이떠있는데 왜 하늘에는 구름이있고 구름은어떻게만들어지나요.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
구름은 물이 증발하면서 수증기 형태로 고도가 높아지면 차가운 온도에 의해 응결되면서 작은 물방울이 떠있는 형태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대기중의 습도나 여러 요인의 영향을 받을 수 있겠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보통 구름은 수증기가 응결되는 과정에서 만들어지게 되는데 지표면의 물이 태양열에 의해 증발하여 수증기가 되게 되면 공기중으로 올라가게 되고 이 수증기를 포함하는 따뜻한 공기가 주변 공기보다 가벼워지며 대기 상층부로 상승하고 상승할수록 대기압이 낮아져 온도를 낮추게 되면서 수증기가 응결하기 시작하는것이지요~공기가 냉가괻면서 이슬점에 도달하게 되고 고익중의 수증기가 작은 입자들을 중심으로(응결핵) 물방울이나 얼음 결정을 만들어내게 하는것이지요. 구름은 작은 물방울들이 모여 이루어지며 태양빛을 산란시키며 우리가 보는 구름을 만들어내게 하는것이죠~ 지구의 대기는 계속해서 수증기를 공급받고 기온이 변화함에 따라 공기가 차가워지며 구름을 생성하기에 하늘에는 항상 구름이 항상 존재하게 되는것이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