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재료공학

알뜰한참매216
알뜰한참매216

주로 어떤 종류의 흙으로 그릇을 만들어요?

김치나 된장을 담그는 항아리는 황토로 만들잖아요.

일상생활에 쓰는 도자기는 고령토나 석회토로 만들죠.

투명한 유리그릇은 모래로 만들고요.

또 어떤 종류의 광물이나 흙으로 다른 그릇들을 만들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

    그릇의 재료는 다양합니다. 흙으로 만든 그릇을 많이 사용하였지만 요즘은 멜라민 을 사용한 그릇도 많고 테프론 코팅을 해서 만들어진 그릇도 많이 사용됩니다.

    말씀하신 것 이외에 흙으로 만드는 그릇은 도자기 류에 사용되는 흙이 있습니다.

    아이보리 색을 띄는 도자기의 재료는 백자토 라고 하는데 고온에서 굽고 난뒤에 흰색과 푸른색의 중간정도인 아이보리색을 띄는 백자의 재료를 백자토 라고 합니다.

    그리고 청자도 지속적으로 사용되는데 이러한 청자를 만드는데 사용되는 흙을 청자토 라고 합니다. 흙 내부에 철분이 포함되어 있어 고온에서 굽고 나면 푸른 빛을 띄게 됩니다.

    그리고 장독대나 옹기를 만들때 사용되는 옹기토가 있습니다. 성형하고 나면 도자기 처럼 표면이 매끈하지 않고 표면에 작은 구멍이 생기게 되는데 도자기와 같은 식기나 관상용 보단 보관용으로 많이 제작 됩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 추가로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댓글달아주시면 답변 드리겠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그릇의 경우 용도에 따라 다양한 흙 및 광물들이 사용됩니다.

    도자기 그릇의 경우 고령토나 점토 등이 주로 사용되고, 항아리는 황토, 유리 그릇은 규사, 소다회, 석회석 등이 주로 사용됩니다. 내열 그릇의 경우는 알루미나나 내화 점토, 식기류 및 장식품은 포슬린이나 흑토가 주로 사용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항아리, 도자기, 유리처럼 우리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는 그릇들은 다양한 종류의 광물이나 흙을 재료로 만들 집니다. 황토는 항아리의 숨 쉬는 특성을 살려 장류를 보관하는 데 주로 사용되고, 고령토나 석회토는 매끈하고 하얀 도자기를 만드는 데 적합 합니다 . 투명한 유리는 모래를 고온에서 녹여 만듭니다. 이 외에도 점토, 자기, 벤토나이트 등 다양한 광물들이 그릇 제작에 사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