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적으로 마트에 파는 바나나는 멸종된다는게 뭔 말인가요?
바나나는 원래
아주 많은 종이 있었고
그 중에서
사람 입맛에 가장 알맞는 종을 개량해서
재배하여 유통되는게
지금 우리가 먹는 바나나 라고 아는데요.
뭐 물론
오지 같은 곳에서는 아직 생김새는 바나나 지만
지금 우리가 먹는 것과 완전 다른 바나나들도 있다하지만
지금 우리가 마트에서 일반적으로 사먹는 바나나가
결국 멸종될 것이라 하는데요.
이 바나나의 배양 과정에서
경쟁이 안되는 바나나들은 다들 멸종되버려서
대체할 바나나도 없다는데
그럼 지금 먹는 바나나가 멸종된다는 말은
어떤 근거에서 나온 말인가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충분히 가능성이 있습니다.
실제 현재 우리가 흔히 먹는 바나나인 캐번디시 바나나가 멸종될 수 있다는 이야기는 과학계에서 꾸준히 제기되고 있는 이야기입니다.
과거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재배되던 바나나 품종은 '그로 미셸'이라는 품종이었습니다. 이 품종은 뛰어난 맛과 향으로 인기가 많았지만, 20세기 중반 '파나마병'이라는 곰팡이 질병에 의해 거의 멸종되었습니다.
그래서 현재 전 세계 바나나 시장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캐번디시 바나나는 이 파나마병에 비교적 강한 품종으로 개발되어 재배되기 시작했습니다. 하지만 1990년대 이후, 더욱 강력한 변종인 'TR4' 파나마병이 발생하면서 캐번디시 바나나 재배 지역으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습니다.
참고로 이 곰팡이는 바나나 뿌리에 침투하여 물과 영양분 흡수를 막아 결국 식물을 말라 죽게 합니다.
현재 재배되는 캐번디시 바나나는 모두 유전적으로 동일한 클론입니다. 이는 대량 생산과 균일한 품질 유지에는 유리하지만, 특정 질병이나 환경 변화에 매우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사실 과거 그로 미셸 품종이 파나마병에 멸종에 가깝게 간 것도 이와 같은 이유인데, 캐번디시 바나나 역시 TR4 파나마병에 감염되면, 전 세계적으로 동시에 피해를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현재까지 TR4 파나마병에 저항력이 있는 상업적으로 성공 가능한 새로운 바나나 품종을 개발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물론 일부 품종이 개발되고는 있지만, 맛이나 수확량, 저장성 등 여러 면에서 캐번디시 바나나만큼은 아니어서 상업적인 재배를 하지 못하는 상황입니다.
지금 마트에서 파는 바나나는 대부분 '카벤디시' 품종인데, 이 바나나는 유전적으로 동일한 복제 형태로 재배되기 때문에 병해에 매우 취약합니다. 특히 '파나마병'이라 불리는 곰팡이성 병원균이 전 세계로 퍼지고 있으며, 이 병에 한 번 감염되면 회복이 어렵고 뿌리까지 오염되어 재배지를 잃게 됩니다. 과거에도 '그로 미셸'이라는 바나나 품종이 같은 병 때문에 멸종되었고, 현재 카벤디시도 동일한 위협에 처해 있어 대체 품종이 없는 상황에서 멸종 가능성이 제기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