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정중한물총새210
정중한물총새210

IP V4에서 IP V6로 완전한 전환은 언제 이루어 질까요?

아이피 버전 4에서 아이피 버전 6로 완전한 전환은 언제 이루어질까요?

지하철 같은곳이 제일 우선순위가 될듯 싶은데요..

우리 나라 같은 경우는 인구수가 적기 때문에....구지 아이피 버전 6로 전환을 하지 않더라도....

아이피의 고갈은 없을것으로 판단은 되지만....

구기술에 억매여 있으면 신기술에 도퇴가 될듯 싶은 생각이 드는데요....

어느 기사를 보니 아이피 버전 6로 전환될려면 2조원이란 예산이 들어간다고 하네요....

지하철 같은곳은 아이피버전 6로 전환이 됐는지 궁금합니다...

기존의 아이피버전4의 라우터에다가 아이피버전 6까지 같이 집어 넣는 터널링과 듀얼스텍 같은 기술이

있기는 하지만.....설비자체를 몽땅 바꾸는쪽으로 흘러 갈듯 싶거든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IP 버전 4(IPv4)에서 IP 버전 6(IPv6)로의 완전한 전환은 여러 기술적, 경제적 요소로 인해 시간이 많이 걸릴 것으로 예상됩니다. 전 세계적으로 IPv4의 주소 고갈 문제는 여전히 중요한 이슈이지만, 많은 국가들은 IPv6로의 전환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특히, IPv6는 더 넓은 주소 공간을 제공하고, 향후 인터넷의 성장과 새로운 기기들, 사물인터넷(IoT) 등과 같은 기술을 지원하기 위해 필수적인 기술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한국의 경우, 인구가 상대적으로 적어서 IPv4 주소 고갈 문제는 비교적 덜 심각하지만, 글로벌 인터넷 환경에서 경쟁력을 유지하고, 미래의 기술 발전에 대비하기 위해 IPv6로의 전환은 필수적입니다. 이에 따라 IPv6 도입이 점차 확대되고 있으며, 정부와 기업들이 IPv6 기반의 인프라 구축을 시작하고 있습니다.

    지하철과 같은 공공시설의 경우, IPv6 도입 여부는 특정 지자체나 운영 주체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그러나 대중교통 시스템에서 인터넷을 활용한 실시간 정보 제공, IoT 기기 등 다양한 서비스가 늘어나면서 IPv6로의 전환이 중요한 문제로 다뤄지고 있습니다. 현재 일부 대중교통 시스템에서는 IPv6를 지원하기 위한 준비가 진행되고 있을 수 있지만, 완전한 전환이 이루어졌는지는 구체적인 사례에 따라 다를 것입니다.

    IPv6로의 전환에 따른 비용 문제도 중요한 요소로, 초기 인프라 구축에 대한 예산이 큰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장기적으로 보면, IPv6는 더 많은 기기와 서비스의 연결을 가능하게 하고, 네트워크 관리의 효율성을 높이는 등의 장점이 있기 때문에, 점차 전환이 이루어질 것입니다.

    결국, IPv6로의 전환은 점진적으로 이루어지겠지만, 전면적인 전환에는 수년 이상의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되며, 그동안 IPv4와 IPv6가 공존하는 상태에서 점진적으로 변화를 맞이할 것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최한중 경제전문가입니다.

    ipv6 전환은 점진적으로 진행중입니다.

    완전한 전환 시점은 불확실하지만, ip고갈 문제와 신기술 대응을 위해 장기적으로 필 수입니다.

    지하철 등 주요 인프라는 듀얼 스택 방식을 활용중이며, 완전한 ipv6 도입에는 아직 시간이 필요합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