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킷 브레이크가 정확하게 무엇인가요?
최근 증시가 급등 급락 하면서 서킷브레이크가 발동 했다고 들었습니다.
서킷브레이크가 발동하게 되는 기준이 무엇인가요?
그리고 이게 발동하게 되면 모든 주식 다 거래가 안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조유성 전문가입니다.
✅️ 서킷 브레이커는 주식시장이 일정 %이상으로 하락하게 되면 모든 주식의 거래를 전면 중단하는 제도로써, 우리나라 서킷 브레이커의 경우 20분 거래 정지 + 10분 동시호가로 하여 총 30분간 사실상 거래를 중단시키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서킷 브레이커는 증시에서 주가지수가 크게 떨어지면 발동되는 '하락 안전장치'입니다. 일반적으로 주가 지수가 8% 이상 떨어지면 발동되며, 오늘 바로 이 서킷 브레이커가 발동되었습니다. 즉, 그만큼 증시 하락 폭이 컸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종우 경제전문가입니다.
투자자들은 가격이 급변동 하게 되면 뇌동매매를 하여 손실을 입을 가능성이 커집니다. 또한 세력, 기관의 작업에 당 할 위험성이 높아지게 됩니다.
이때 서킷브레이크를 통해 일정 시간동안 매매를 하지 않음으로서 냉정을 되찾고 투자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지게 됩니다. ^^ 이를 제도적으로 만든게 바로 서킷브레이크라로 보시면 됩니다.
이런 서킷브레이크가 발동되는 기준을 코스피를 기준으로 말씀 드리겠습니다.
먼저 1단계로 전 날 대비 8%하락 한 경우에 먼저 20분간 거래가 종단대고, 2단계로 15%하락한 경우 또 20분간 중단이 됩니다. 마지막 3단계로 20%하락하게 되면 당일 거래는 종료 됩니다. ㅠㅠ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추천 부탁 드립니다.^^
서킷 브레이커는 주식 시장에서 주가가 급락하는 경우 일시적으로 매매를 중단하는 제도입니다.
코스피, 코스닥 지수가 전일 대비 8% 이상 하락한 상태가 1분간 지속될 때 발동됩니다.
1, 2단계는 20분간 거래가 중단되고, 이후 10분간 단일가 매매로 거래가 재개됩니다.
3단계는 모든 주식 거래가 종료됩니다.
서킷브레이커는 주식시장이 과도하게 급등하거나 급락하는 경우에 잠시 열을 식힐 수 있도록 주식 매매를 일시적으로 정지하는 제도입니다. 지나친 급등이나 급락시 피해자가 많이 발생할 수 있어 만든 제도입니다.
안녕하세요. 신정훈 경제전문가입니다.
국장에서 1단계 서킷 브레이커의 기전은 종합지수가 당일에 8%하락했을때 모든 주식과 선물거래가 20분간 중단이 됩니다.
2단계는 15%거나 1단계에서 브레이커 발동지수 대비 1%이상 추가하락한 경우 역시 주식매매가 중단이되죠.
안녕하세요. 강성훈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종합지수가 급락하게 될 때 제동 걸어주는 제도입니다.
전날 종합지수 종가기준으로 시장 거래중지되며,
1단계 : 8%이상 하락시 발동하여 20분 거래정지
2단계 : 15%이상 하락시 발동하여 20분 거래정지
3단계 : 20%이상 하락 또는 2단계 이후 추가 1% 하락하여 지속시 당일 거래정지
식으로 작동됩니다.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서킷 브레이크는 주식시장에서 주가가 너무 급격하게 오르거나 내릴 때 거래를 잠시 멈추는 안전장치입니다. 주가가 급등하거나 급락할 때 시장 전체가 혼란스러워지는 것을 막기 위해 일정 기준에 도달하면 발동됩니다. 서킷 브레이크가 발동되면 일정 시간 동안 모든 주식의 거래가 중단됩니다. 이 시스템은 투자자들이 차분하게 상황을 분석하고 결정할 시간을 주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서킷 브레이커에 대한 내용입니다.
서킷 브레이커란 전날 종가 지수에서 8퍼센트 이상이 빠지는 것이 1분간 유지되면
발동되는 것으로 특정 시간 종안 거래가 중단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황태현 경제전문가입니다.
서킷 브레이크는 주식 시장에서 주가가 급격하게 변동할 때 시장에 충격을 완화하고 투자자를 보호하기 위해 마련된 안전장치입니다. 주식 시장이 과열되거나 폭락하는 상황에서 투자자들이 냉정하게 판단할 시간을 벌어주고, 시장의 안정을 도모하기 위한 목적으로 활용됩니다.
서킷 브레이크는 특정 지수가 전날 종가 대비 일정 수준 이상 하락할 경우 발동됩니다. 예를 들어, 코스피 시장에서는 전일 종가 대비 8% 이상 하락하여 1분간 지속될 경우 20분간 거래가 정지되며, 코스닥 시장에서는 전일 종가 대비 15% 이상 하락하여 1분간 지속될 경우 20분간 거래가 정지됩니다.
서킷 브레이크가 발동되면 해당 시장의 모든 주식 거래가 일시적으로 중단됩니다. 이는 투자자들이 급격한 주가 변동에 당황하여 성급한 투자 결정을 내리는 것을 방지하고, 시장 안정을 위한 시간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거래 정지 시간 동안 투자자는 보유 주식을 매도하거나 추가 매수할 수는 없지만, 호가는 제출할 수 있습니다.
서킷 브레이크는 주식 시장의 안정성을 높이는 데 기여하지만, 투자자 입장에서는 거래 중단으로 인해 불편을 겪을 수도 있습니다. 특히, 서킷 브레이크 발동 후에도 주가가 계속 하락하는 경우 추가적인 서킷 브레이크가 발동될 수 있어 투자자들의 불안감을 증폭시킬 수 있습니다.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저도 정확히는 몰라서 조금 자료를 찾아봤습니다. 서킷 브레이커는 3단계로 구성되는데 첫 번째 단계에서 종합주가지수가 8% 이상 하락하면 발동된다고 합니다. 20분 동안 모든 주식 거래가 정지된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