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하엽의 꽃잎은 비를 맞으면 투명해지는 과학적 근거는 무엇인가요?
산하엽의 경우 비가 내리는 날 꽃잎에 빗방울이 떨어지면 꽃잎이 투명하게 바뀐다고 알고 있습니다
꽃잎에 어떤 성분들 때문에 빗물과 만나서
투명하게 바뀌는 것인가요?
꽃잎이 투명하게 바뀌게 되는 과학적 근거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꽃입의 세포 구조가 느슨하기 때문에 평소엔 난반사하여 흰색으로 보이다가
비가 오면 수분이 들어가 굴절율을 높에 투명하게 보인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채원 과학전문가입니다.
산하엽은 빛을 이리저리 반사시키는 난반사구조를 가지고있어 평소에는 하얀색으로 보이지만, 물에젖으면 투과도가 증가하며 투명해보이게 됩니다.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산하엽이 투명하게 변하는 이유는 꽃 안에 있는 특별한 색소 때문이 아니라, 꽃잎의 세포 구조가 느슨하기 때문인데요. 세포의 바깥 쪽이 공기에 노출되어 희게 빛을 난반사하다가 세포사이가 젖으면 세포사이의 투과율이 높아져 투명해지고 물이 마르면 다시 하얗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산하엽의 꽃잎은 나노 구조의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평상시에는 이 구조가 빛을 산란시켜 흰색으로 보이지만, 비가 오면 물이 꽃잎 사이에 스며들어 굴절률이 균일해집니다. 이로 인해 빛의 산란이 감소하고 투명하게 변하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즉, 물이 꽃잎의 나노 구조를 채워 빛이 굴절되지 않고 직접 통과하게 되어 투명하게 보이는 것입니다. 따라서 특정 성분보다는 꽃잎의 나노 구조와 물의 굴절률 변화가 투명화의 주요 원인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젖어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빛의 난반사를 일으켜 꽃잎이 하얗게 보이지만, 비가오면 이 굴절정도가 바뀌면서 투명하게 바뀌게 됩니다.이와비슷한것이 사람의 흰머리인데, 흰머리를 자세히 관측해보면 손톱과같이 반투명한 색깔입니다. 멀리서보면 난반사를 일으켜 하얗게 보이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권창근 과학전문가입니다.
산하엽의 경우 비가 내리는 날 꽃잎이 투명해지는 현상은 "충분한 물 공급"에 의한 현상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빗방울과 만난 후에 꽃잎이 투명해지는 것은 주로 두 가지 이유로 설명됩니다.
첫째, 빗물과 만나면 꽃잎의 표면에 있는 먼지와 미립자 등이 제거되어 깨끗해지는 효과가 있습니다. 이로써 꽃잎이 빛을 더 잘 반사하고 투명해 보일 수 있습니다.
둘째, 빗물을 흡수하면 꽃잎의 셀 내부의 공기가 채워지고, 공기와 수분의 경계면이 감소하여 굴절률 차이가 줄어듭니다. 이로 인해 꽃잎이 투명하게 보이는 효과가 생기게 됩니다.
이러한 현상은 꽃잎의 생리적 특성과 물리적인 변화에 기인하며, 빗물과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꽃잎의 투명도가 변하는 것으로 설명됩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빗방울이 꽃잎 표면에 물방울을 형성하고, 이 물방울이 꽃잎 표면을 덮으면서 꽃잎의 표면장력이 줄어들어 투명해지는 것입니다. 이 과정에서 꽃잎의 표면에 있는 왁스나 기타 성분들이 물에 섞여 투명해지는 것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산하엽(山荷葉)은 눈이 많이 내리고 추운 지역에 살아가는 산하엽은 평범한 흰색 꽃을 피우지만, 비가 오면 이슬과 함께 투명해집니다. 유리꽃, 얼음꽃으로도 불리는 이 꽃이 투명해지는 이유는 꽃잎의 세포 구조가 느슨하기 때문인데, 평소의 세포가 희게 빛의 난반사를 일으키다. 세포 사이가 젖으면 세포 사이의 투과율이 높아져 투명해진다고 한다. 물이 마르면 본연의 새하얀 꽃잎으로 돌아온다.
출처 : 헥토르 블로그 - 산하엽, 얼음처럼 투명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