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가 오는 날 연잎을 보면 물이 방수가 되어, 동그랗게 맺혀있는데 원리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비가 오는 날 연잎을 보면 물이 안퍼져있고, 동글동글 맺혀 있는데요
마치 방수가 되는 것처럼 말이에요
어떤 원리에 의해서 연잎은 물이 안퍼지고 방수하는것처럼 동글동글 맺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연잎은 아주 미세한 돌기로 이뤄져 있다. `나노돌기`에 떨어진 물방울이 퍼뜨려지지 않고 방울로 맺히게 한다.
원리는 액체가 표면적을 작게 하도록 작용하는 힘인 표면장력입니다.
연꽃잎 위의 물방울은 돌기 위에 떠 있기 때문에 표면에 접촉하는 면적이 크게 줄어들어 표면장력이 떨어져 물에
젖지 않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연잎이 물에 젖지 않는 이유는 연잎 표면에 아주 작은 크기의 융기가 빽빽하게 나 있기 때문입니다. 이 융기는 물을 튕겨내는 역할을 하여 연잎이 물에 젖지 않게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접촉각은 액체가 고체 표면에 접하는 각도를 말합니다. 물은 고체 표면에 접할 때 일반적으로 접촉각이 형성됩니다. 이 접촉각이 작으면 물방울이 표면에 확장되어 퍼지게 되고, 크면 물방울이 더 작아지거나 형태가 유지됩니다.
연잎의 표면은 특별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물방울이 형성될 때 접촉각이 크게 형성됩니다. 이는 연잎 표면의 표면장력과 물의 분자 간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합니다. 표면장력은 액체의 표면에서 분자 간의 인력이 작용하여 액체 표면을 최소화하려는 성질을 말합니다. 따라서 물은 연잎 표면에 물방울을 형성할 때 표면을 최소화하기 위해 동그랗게 맺히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이 동글동글하게 뭉치는 것은 소수성 표면에 친수성 물이 있기 때문입니다.
연잎표면이 소수성이어서 물이 스며들지 못하기 때문인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연잎의 표면은 나도돌기로 가득차있어, 물방울이 표면에 안착하지 못하고 돌기위에 동그랗게 뭉치게됩니다.
즉 액채끼리 서로 모여있으려고 하는 힘인 표면장력에 의한 물리적인 방수현상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연잎은 그냥 사람의 눈으로 보면 다른 잎과 똑같이 보여서 물에 젖을 것 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미세한 돌기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래서 물이 떨어지면 이 돌기위에 앉게 되면 그 물은 특성상 표면장력을 작게 하려고 해서 동그랗게 되면서 물에 무게에 의해서 연잎이 경사가 지면 밑으로 굴러 떨어지게 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