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하얀도화지113
하얀도화지113

연잎은 어떠한 구조로 되어 있길래 방수가 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유투브에서 봤는데, 연잎에다가 물을 떨어뜨리면 물방울이 퍼지지 않고, 동그란 모양을 유지하고 또르르

떨어지는데요

연잎의 구조가 어떻게 되어 있길래 이런 방수성을 가질수 있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꼬꼬댁 힘센 병아리 큰닭727
    꼬꼬댁 힘센 병아리 큰닭727

    안녕하세요. 설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연잎 표면 코팅 되어 있어요 현미경으로 살펴보면 표면에 3~10㎛ 크기의 수많은 돔 형태의 돌기가 가득 워낙 크기가 작으니 물방울이 그 사이로 스며들지 못하고 돌기 위해 매달려있는 상태가(코팅) 되요

  • 안녕하세요. 형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연잎은 표면에 스테로이드성 물질인 컷인이 함유된 외피층을 갖고 있습니다. 이 외피층은 불용성이므로 물을 통과시키지 않습니다. 또한, 연잎의 중간층인 칼라스파렌키마와 경직조직의 섬유 세포도 방수성을 증가시킵니다.

  •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연꽃잎을 나노 단위의 현미경으로 들여다 보면 수많은 돌기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렇게 울퉁불퉁한 구조덕분에 연잎 위에 떨어진 물방울이 스며들지 못하고 흘러내리게 됩니다.

    돌기 위에 떠있기 때문에 표면에 접촉하는 면적이 크게 줄어 들고, 표면장력이 떨어지죠

    그래서 물바울의 형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재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연잎은 왁스층으로 덮인 작은 기둥으로 구성돼 있습니다. 덕분에 연잎은 물이 떨어져도 젖지 않습니다. 연잎에 떨어진 물방울은 중력이나 바람에 의해 연잎 밖으로 굴러 떨어집니다. 연꽃잎 표면은 3~10㎛ 크기의 수많은 혹(융기)들로 덮여 있고, 이 혹들은 나노크기의 발수성코팅제로 코팅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울퉁불퉁한 독특한 구조 덕택에 연잎 위에 떨어진 물방울은 잎 속으로 스며들지 못하고 흘러내리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

    연꽃잎 표면은 3~10㎛ 크기의 수많은 혹(bump, 융기)들로 덮여 있고, 이 혹들은 나노크기의 발수성(water-repellent) 코팅제로 코팅되어 있읍니다.이러한 울퉁불퉁한 독특한 구조 덕택에 연잎 위에 떨어진 물방울은 잎 속으로 스며들지 못하고 흘러내리게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성희 과학전문가입니다.

    연잎은 비가오는 날에서 젖지 않고 물방울이 흘러내리는 방수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잎의 방수기능은 연잎의 표면이 왁스 성분으로 코팅이 되어 있고 미세한 돌기가 많이 있어서 물방울을 흘려보낼 수 있다고 합니다. 이러한 연잎의 방수 효과를 모방해서 표면이 젖지 않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