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밝은큰고니27
밝은큰고니27

개미는 진딧물과 공생을 하는데요. 개미는 진딧물을 전혀 먹지 않나요?

개미는 진딧물과 공생을 하며, 진딧물의 천적을 막아주고 대신에 진딧물에서 나오는 꿀물을 섭취하는데요. 그렇다면 개미는 진딧물을 전혀 먹지 않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개미는 공생 관계의 진딧물을 일반적으로는 먹지 않습니다. 그러나 식량이 부족한 예외적인 상황에서 개미가 진딧물을 먹는 사례도 보고되었습니다. 개미는 진딧물이 과도하게 번식하면 생태계 내에서 자원 경쟁을 조절하기 위해 진딧물의 숫자를 조절하기 위해 일부 진딧물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개미는 진딧물을 먹지 않습니다. 구체적으로 말을 하자면, 진딧물의 배설물을 개미가 먹는 것이기 때문에 진딧물이 없으면 개미의 밥도 없어지는 겁니다. 감사합니다.

  • 네, 개미는 진딧물과 공생을 하며 진딧물을 먹지는 않습니다. 개미가 진딧물을 돌보는 능력은 참으로 탁월한데요, 단지 100여 마리의 개미가 나무 한그루에 있는 진딧물을 모두 관리한다고 합니다. 진딧물은 아무런 방어수단이 없는 최약체 곤충이며 자신보다 작은 기생벌에게 당할 정도로 매우 약해 돌봄이 필요한데, 개미들이 바로 진딧물을 돌보는 것입니다. 개미는 진딧물이 안전하게 생활하도록 주변을 철저하게 경계하며, 진딧물의 천적을 쫒아내주고, 진딧물의 배 속에는 식물의 즙을 완전히 소화할 수 있는 힘이 없습니다. 그래서 특히나 과다섭취되는 당분을 배설하게 되는데, 개미가 바로 이것을 먹이로 삼게 됩니다.

  • 진딧물과 개미는 가장 잘 알려진 공생관계로 서로간에 좋은 영향을 주는 상리공생이라고도 합니다.

    양쪽이 이익인 상리공생. 한쪽만 이익인 편리공생, 그리고 한쪽만 피해를 받는 편해공생의 공생관계들이 있습니다.

    이처럼 개미는 진딧물과 하항 붙어다니는 것을 볼수있는데요. 진딧물이 먹고 배출하는 덜소화된 수액, 즉 감로라는 액체를 배설하는데 이는 곧 개미의 중요한 먹이입니다.

    개미는 진딧물로부터 감로를 끊임없이 얻을수 있기때문에 해치지 않고 오히려 지키게됩니다.

    진딧물의번식은 매우빠르며 작물을 해칠수있는 해충으로 알려져있고 이에 천적인 무당벌레가 이 문제를 해결할수가 있습니다.

    하지만 개미는 감로에 푹빠졌기에 진딧물을 무당벌레로부터 지킬 수밖에 없는것이지요. 개미는 진딧물을 해할수가 없습니다. 잡아먹는것보다 감로가 더 꿀이니까요.

  • 개미와 진딧물의 공생 관계에서 개미는 일반적으로 진딧물을 직접 먹지 않습니다. 개미는 진딧물이 분비하는 달콤한 물질인 감로를 주요 food source로 활용하며, 진딧물을 보호하고 돌봐줍니다. 하지만 상황에 따라 개미가 진딧물을 먹는 경우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개미 집단 내에 food가 부족하거나 진딧물의 개체수가 너무 많아질 때, 개미는 일부 진딧물을 포식하여 개체수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또한 진딧물이 죽거나 감로 분비량이 적은 경우, 개미가 진딧물을 먹어치우기도 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는 흔하지 않으며, 대부분의 경우 개미는 진딧물과의 공생 관계를 유지하여 상호 이익을 얻습니다.

  • 네, 그렇습니다.

    개미와 진딧물은 잘 알려진 공생 관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관계에서 진딧물은 식물의 체액을 빨아먹고, 그 과정에서 달콤한 배설물을 만들어냅니다. 이 배설물은 감로라고 불리며, 개미에게는 식사가 되죠.

    개미는 이 감로를 먹는 대신, 진딧물을 포식자와 기생충으로부터 보호해줍니다. 예를 들어, 진딧물을 먹는 무당벌레가 공격하려고 하면 개미가 공격적으로 진딧물을 방어합니다. 또한, 식물의 영양분이 고갈되면 개미는 진딧물을 새로운 먹이원으로 옮기기도 합니다.

    따라서 개미는 진딧물 자체를 먹지 않지만, 진딧물이 만들어내는 감로를 먹습니다. 이런 방식으로 개미와 진딧물은 서로에게 이익을 주는 공생 관계를 유지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