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자유로운쌍봉낙타113
자유로운쌍봉낙타113

반딧불이 불빛을 내는 원리는?

야간에 산이나 강가에 가면 반딧불이 불빛을 내며 비행을 하고있는데요. 어떻게 반딧불이 불빛을 낼까요? 어떤 원리로 불빛을 내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호탕한날다람쥐263
      호탕한날다람쥐263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

      반딧불이의 발광원리

      제1단계: 반딧불이의 짝짓기 철은 초여름의 2주간이다. 암컷들은 밤이 되면 숲과 잔디밭에 앉아, 수컷들이 날아오기를 기다린다.

      제2단계: 수컷이 비행할 때 산소가 뱃속 기관을 통해 엉덩이에 들어간다(A). 외골격 표면을 통해 발광포(발광세포)로 산소가 전달되는 것이다.

      제3단계: 발광포 내에서 발광소 효소가 빛을 만들어내는 발광소 분자와 합쳐진다(B). 그리고 산소 및 에너지 저장 ATP에 의해 촉매 반응이 일어난다. 그 결과물은 산소발광소이다. 원자의 에너지가 초과되어 빛으로 방출되는 화합물인 것이다. 이 빛은 반딧불이의 아랫배의 투명한 부분을 통해 밖으로 나온다.

      제4단계: 수컷 반딧불이의 엉덩이는 이 과정을 5.5초 간격으로 반복한다. 암컷은 눈에 든 수컷의 엉덩이가 빛날 때마다 2초의 시간차이를 두고 발광한다. 암컷도 화학적 원리는 수컷과 똑같다. 발광신호를 통한 눈 맞춤과 윙크인 것이다.

      제5단계: 수컷은 암컷의 빛을 따라 날아가 짝짓기를 한다. 며칠 후면 암컷은 땅 위에 수정란을 낳는다. 부화에는 2~4주가 걸린다. 이 모든 것이 마법 같은 발광 작용 덕택이다.

    • 루시페린이라는 물질은 공기에 있는 산소와 만나 화학 반응(산화 반응)을 일으키며 빛이 발생하는 물질입니다.

      이 물질이 반딧불이의 기관 내의 세포가 만들어내고 있습니다.

      즉 반딧불이는 발광세포를 가지고 있기에 빛을 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