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단호한메추라기154
단호한메추라기154

생태계 파괴의 주범들이 되는 생물들을 어떻게 처리하나요?

파괴되고 있는 생태계를 복구시키기 위해서는 뭔가 조치를 취해서 생태계 복구를 할텐데 이 생태계 파괴의 주범이 되는 생물들의 처리를 어떻게 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생태계 파괴를 일으키는 생물들은 동물은 보통 알이나 개체 자체를 포획하여 처리하고 식물은 물리적 화학적으로 제거하게됩니다.

    하지만 생태계 교란종인 만큼 개체수가 빠르게 늘어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런 방법으로 짧은시간에는 해결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오랜기간 교란종 개체수를 조절하며 모니터링하면 자생종들이 해당 교란종에 적응하여 천적으로 작용해 개체수 조절을 하고 교란종이 생태계에 편입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제거 방법에는 몇가지가 있습니다.

    물리적 제거 : 포획, 격리, 사살 등을 통해 직접적인 제거를 수행합니다.

    화학적 제거 : 살충제나 제초제를 사용하여 제거합니다. 하지만 주변 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생물적 제거 : 천적을 이용하거나, 경쟁종을 도입하는 방식으로 제거합니다. 하지만 예상치 못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신중하게 검토해야 합니다.

    유전적 제거 : 유전자 조작 기술을 이용하여 번식을 막거나 개체수를 감소시키는 방법입니다. 하지만 기술적, 윤리적 문제가 있기 때문에 아직 상용화되지는 않았습니다.

    하지만, 어떤 방법을 사용하든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고 지속가능한 해결책을 모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제거보다는 관리하는 방안도 중요합니다. 그래서 외래종의 개체수를 일정 수준 이하로 유지하거나, 서식지를 제한하는 방법 등이 있습니다.

  •  천적 또는 병원체를 도입하여 유해 생물을 통제합니다 또는 

     유해 생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화학물질을 사용합니다. 단, 화학물질 사용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야 합니다.또한 

     주변 환경을 조절하여 유해 생물의 서식지를 제한하거나 균형을 유지합니다.

    이러한 방법들을 조합하여 특정 생태계의 파괴를 일으키는 생물을 관리하고, 생태계의 복구를 도울 수 있습니다.

  • 생태계 파괴의 주범이 되는 생물들을 처리하는 방법은 다양합니다.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이들 생물의 개체 수를 조절하는 것입니다. 이는 직접적인 포획이나 척살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또한, 이들 생물의 서식지를 파괴하거나 변형시켜 개체 수를 줄이는 방법도 있습니다. 한편, 생물학적 방제법을 사용하여 천적을 도입함으로써 파괴 생물의 개체 수를 조절할 수도 있습니다. 이 외에도 교란 생물의 확산을 막기 위한 검역이나 규제 등의 예방적 조치도 중요합니다. 이러한 다양한 방법들을 상황에 맞게 적절히 활용함으로써 생태계 파괴 생물들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생태계 복원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지호 박사입니다. 생태계 교란 야생생물은 외국으로부터 인위적 또는 자연적으로 유입되어 생태계 균형에 교란을 가져오거나 가져올 우려가 있는 야생생물, 또는 유전자의 변형을 통하여 생산된 유전자변형생물체 중 생태계의 균형에 교란을 가져오거나 가져올 우려가 있는 야생생물로 정의합니다. 이러한 생태계교란 야생생물은 우리나라 자생생물과 먹이와 서식지를 놓고 경쟁하거나, 육식성 어류의 경우 강한 포식성으로 인해 문제가 됩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에 대응하기 위하여 정부와 지자체에서는 대안을 마련하는데요, 예를 들어 배스나 블루길과 같은 교란종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안동시에서는 수생 생태계 교란종인 배스와 블루길을 잡는 대회를 개최했습니다. 또한 이외에도 생태계 교란 어종을 활용한 친환경, 고품질 비료 생산을 하여 이를 친환경 유기농업자재로도 활용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