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화학

굳센나비2022
굳센나비2022

벌이 많이 없어졌다고 하는데요. 벌이 없어지면 어떤 일이 생기나요?

요즘 벌이 많이 없어졌다고 걱정하는 목소리를 많이 들었습니다.

벌이 없어진다고 큰일이 생기지 않을 것 같은데 왜 문제가 되나요?

과학적인 이유를 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한만전 과학전문가입니다.

      꽃가루를 이용하여 수정하는 많은 과수들의 수정율이 저하됩니다. 바람이나 기타 곤충에 의한 수정율이 저조하여 꿀벌의 활동이 절대적입니다. 하여 산이나 들의 많은 자연과실의 수가 줄어 들면 산과 들짐승들의 먹이가 줄어들것이고, 개체수 또한 줄어들 것입니다. 결국엔 먹이사슬의 교란이 생길것이고 생태계 전체에 엄첨난 변화가 생길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벌이 사라지면, 생태계(동식물)의 체계가 무너집니다. 벌은 꽃, 나무, 농작물 등의 결실을 맺는 것도 벌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또한, 포식자 피식자의 관계가 사라지는 경우이기 때문에 곤충, 동물의 체계에도 영향을 줄 것입니다. 벌의 영향으로 인해 생태계의 체계가 무너지면서, 연쇄적으로 더욱 더 큰 타격으로 이어질 것입니다. 즉, 벌은 생태계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에 벌이 사라지는것을 우려하고 있는것이죠.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진솔한 과학 전문가입니다.

      충매화를 아시나요? 식물 중 1/3이나 차지하면서 향기가 좋고 꽃잎이 매우 아름다운게 특징입니다. 이는 곤충을 유인하기 위한 것이죠.

      많은 곤충 중에 꽃가루를 옮겨 수분을 도와주는 것의 약 80% 가량을 꿀벌이 한답니다.

      의존도가 매우 높죠?

      꿀벌이 얼마나 많은 일을 하는지 느낌이 오시나요?

    • 벌이 생태계에 어떤 역할을 하는지 알면 예측할 수 있습니다.

      벌이 사라지면 수분을 돕지 못해서 식물이 번식을 할 수 없습니다.

      그러면 식물을 먹이로 삼는 초식 동물들이 큰 타격을 받게 됩니다.

      이렇게 연쇄적으로 모든 생태계가 타격을 받게 됩니다.

      현재 벌은 낭충봉아부패병 이라는 유행성 전염병으로 개체 수가 급감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