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불이 나면 끄기가 어려운 이유가 무엇일까요?
이번에 산불이 크게 나서 걱정인데 산불을 쉽게 못끄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그냥 물만 뿌리기엔 범위가 너무 넓어서 그런건가요?
뭔가 획기적인 방법은 나오기 힘든건가요?
산불은 대개 넓은 지역에서 발생하며 불길이 빠르게 확산이 됩니다. 물을 뿌리기에도 한계가 있습니다.
산악지형은 경사가 심하고 적믕이 어렵죠. 험한 지형은 소방 작업을 어렵게 만듭니다. 당장 산에 한번 올라보시죠. 잘 닦여진 등산로 말고 아무 곳으로 올라가 보신다고 생각해 보세요. 아마 걸어 올라가기도 힘들겁니다. 이 작업을 불을 거가면서 위험에 노출된 상태로 해야 합니다. 쉬운 작업이 아니죠.
강한 바람은 불길을 더 빠르게 확산시킵니다.
낮은 고도에서 바람이 좀 쎄네 하는 것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산악지형의 바람은 강합니다.
도시 상황을 예를 들면 8차선 도로 정도의 거리는 거뜬이 불이 날아갑니다.
바람의 세기 방향등도 예측할 수 없을 만큼 변화무쌍하니 소방 작업은 복잡해집니다.
산림 지역은 나무, 풀, 낙엽등의 불에 타기 쉬운 것들이 존재합니다.
여기에 불이 붙으면 삽시간에 불이 번지기 때문에 초기 진화를 못하면 탈게 없어질 때까지는 불을 끈다기 보다는 주요 시설이나 마을 등을 방어하는 형태로 작업할 수 밖에 없습니다.
지금처럼 건조한 시기는 산불이 나기도 쉽고 확산도 걷잡을 수 없으니 불을 내지 않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구요.
획기적인 방법에 대한 연구갸 진행되고는 있으나 쉽게 끌 수 있는 방법이라는 건 없죠.
주요 선진국들도 큰 산불에 대해서는 진화보다는 확산방지에 우선을 두고 작업을 합니다.
요즘 산불로 인해 인명 피해는 물론 재산 피해까지 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산불이 한번 나면 끄기가 어려운 이유는 바로 건조한 날씨와 바람으로 인해 산불을 진화 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합니다. 이런날 비라도 와야 하는데 비도 안오네요. 안타까운 상황이 이어 지고 있습니다.
산불이 일어나도 바람의 영향만 없다면 쉽게 제거 할 수 있습니다.
최근 산불은 건조한데다가 바람의 영향이 심하다 보니 물을 부어도 불길이 번지는 게 삽시간에 이루어지다 보니 불길 잡기가 쉽지 않습니다.
비라도 내리면 좋은데,
산불이 끄기 힘든 이유는 겨울철 건조한 기후와 겨울철 바짝 바른 산에 나무와 풀들 그리고 매년 낙엽이 떨어지면서 지면에 누적이 되어 공기층을 형성하게 되면서 불씨가 지면에서 부터 불이 붙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사람인 공식 멘토로 활동중인 HR백종원 입니다~
아무래도 계속 번지기 때문이죠. 여기 지역 다 껐는데 시선을 다른데 돌려보면 저 멀리서 불이 나있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