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교육기관들이 교복/체육복 대여로 전환한다면, 교복에도 유치원명/학교명 마크를 필수부착하고, 대여와 관련된 시스템이 필요하지 않을까요?
교육기관들이 가방, 교복, 체육복을 대여로 전환하면, 환경보호, 여학생이 치마를 짧게 줄이는 거 방지, 새로운 옷 생산, 일탈, 낭비 줄이기, 업체가 개수을 제한하기, 비용절감 등 장점이 더 많습니다. 윗 사진처럼 모든 상의가 성별공통 긴기장이면 더 편하고, 긴팔셔츠와 반팔셔츠 디자인이 같고, 하의가 사계절용이면 통일성 있고, 선호도가 천천히 증가하고, 비용이 더 절감되고 좋습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학교가 교복을 윗사진처럼 바꾸고, 판매업체가 대여업체로 전환한다면, 다른 학교 교복, 체육복, 롯데월드/에버랜드 스쿨룩 교복과 같을 수 있으니깐, 유치원/학교용은 셔츠를 제외한 교복인 자켓, 조끼, 생활복 상의, 하의에, 체육복은 자켓, 긴팔티셔츠, 긴바지, 반팔티셔츠, 반바지에 유치원명/학교명 마크를 필수부착해야합니다. 스쿨룩 교복일 경우 스쿨룩 브랜드(감성교복, 이화교복, 교복몰)마크를 필수착해야합니다. 그래야 대여업체에 직원들도 마크만 보고 학교 구별이 쉬워집니다. 유치원/학교용인 진짜교복과 스쿨룩, 코스프레 의상인 가짜교복을 구별이 쉬워집니다.
그리고 대여와 관련된 시스템은 무단대여 방지를 위해 신입학, 전학, 유학, 중도반납, 졸업반납 종이 서류(신고서)나 인터넷 서류(신고서)작성이나 학교 배정서 확인이 생겨야 합니다. 뺑뺑이 돌리는 일반계 학교배정서는 작은종이보다 A4용지여야 합니다. 일반계 학교배정서 파일 메시지로 오는 것도 필요합니다. 일부 사립 유치원생과 사립초등학생은 키와 성장을 위해, 중고등학생은 3년 수업이니깐 대여기간을 3년으로 해야합니다. 밖에 나가는 걸 귀찮아하는 학생, 보호자를 위해 홈페이지와 택배대여 서비스도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