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무역

처서매직
처서매직

무역 인프라로지스틱 개선이 실제 성장으로 이어질 가능성은 얼마나 될까요

최근 분석에 따르면, G20 국가들은 관세통관 효율성과 물류 인프라 개선을 통해 무역 경쟁력을 높이고 경제 성장에 실질적 도움이 되고 있다고 합니다. 우리나라 입장에서 보면, 관세 행정이나 물류 효율 개선이 실무 수출 성과에 어떤 식으로 연결될 수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무역 인프라와 관세 통관이 개선되면 당장 체감되는 건 거래 비용 절감과 처리 속도 단축입니다. 수출기업 입장에서는 물류 지연이 줄어드는 게 곧 납기 준수율을 높이는 결과로 이어지고 해외 바이어 신뢰도도 올라갑니다. 세관 행정이 효율화되면 불필요한 서류 제출이나 반복 검사에 쓰이던 자원이 줄어 가격 경쟁력 확보에 도움이 됩니다. 우리나라처럼 수출 비중이 높은 경제 구조에서는 이런 작은 효율 개선이 곧 시장 확대나 신규 계약 성사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실제로 WTO나 OECD 보고서를 보면 통관 효율성 개선이 무역량 증가율과 직접적으로 연결된 사례가 여러 차례 확인됐다고 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

    무역 인프라와 통관 효율이 개선되면 기업은 운송 지연이나 불필요한 행정 절차에 드는 비용을 줄일 수 있고, 이런 절감 효과가 수출 단가 경쟁력으로 직결됩니다. 예를 들어 세관 검증 시간이 단축되면 납기 준수가 쉬워지고 해외 바이어와의 신뢰도도 높아집니다. 물류 허브 확충이나 전자 통관 시스템 고도화가 뒷받침되면 중소기업도 빠르게 시장에 진입할 수 있어서 전체 수출 규모 확대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결국 인프라 개선은 눈에 안 보이지만 실무 현장에서는 매출과 직결되는 요소로 작용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이에 대하여는 충분히 가능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우리나라는 이러한 물류에 대하여 매우 선진화된 곳으로 관세행정 및 물류인프라가 매우 잘되어 있습니다. 해외에서는 이러한 부분이 여전히 낙후된 국가들이 많기에 물류에 대한 효율성을 위하여 충분히 투자할 가치가 있다고 판단됩니다. 특히, 코로나 등의 사태도 또다시 발생하는 경우 이에 대하여 물류 정체가 감소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