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철학 이미지
철학학문
철학 이미지
철학학문
굳센때까치29
굳센때까치2923.09.12

윤리적 행동은 상대적인 것인가요?

도덕과 관련된 철학 질문 하나 드리는데요. 윤리적 행동은 상대적인 것인가요? 도덕성의 기준과 가치 판단에 대한 철학적 사고를 어떻게 발전시킬 수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이게 애매한게 있습니다. 그래서 윤리에서도 사람마다 처한 상황과 환경이 달라서 윤리가 상대적이라는 것과, 어떤 행동은 무조건 옳다, 그르다 라고 정해져 있다는 절대적주의 이렇게 갈립니다.

    하지만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상대적인 쪽이 가깝지 않나 생각합니다. 사람을 때리면 안된다 죽이면 안된다 이런 가장 근본적인 윤리도, 내가 계속 구타를 받았거나 죽임을 당할뻔 한 상황에서까지 지켜져야 하는 의문은 남습니다.

    그래서 도덕성 기준과 가치판단에 대한 철학적 사고는 이런 모호함을 인정하고 옳다 그르다 라는 그 사이 어딘가에서 현 상황에서 가장 합리적인 것을 찾아나가며 발전시키는게 맞지 않나 생각이 듭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윤리적 행위에는 절대론적 윤리설과 상대론적 윤리설이 있습니다. 절대론적 윤리설은 절대성 보편성 객관성 당위성을 강조하고 상대론적 윤리설은 상대성 특수성 주관성 사회성 시대성을 강조하는 이론입니다. 예를 들어 절대론적 윤리설은 언제 어디서나 보편타당한 윤리법칙에 따라야 한다는 것으로 칸트의 도덕적 의무를 들 수 있습니다. 반면에 상대론적 윤리설은 결과가 좋으면 모든 것이 좋다는 것으로 공리주의 사상을 들 수 있습니다. 윤리적 행위는 도덕법칙을 내면화하여 실천함으로써 향상시킬 수 있으며 어떤 윤리적 법칙을 지렛대로 삼는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조사를 해본 결과 윤리적 행동이 상대적인 것인가에 대한 질문에 대한 대답은 단순하지 않습니다. 윤리학의 역사는 이 질문에 대한 다양한 견해가 제시된 역사라고 할 수 있습니다.

    리적 행동이 절대적인 것이라는 견해는 윤리적 기준이 보편적이고 타당하다는 입장입니다. 이 견해는 보편윤리학(universalism)이라고도 합니다. 보편윤리학은 다음과 같은 논증을 제시합니다.

    • 자연법론: 인간은 자연법이라는 보편적인 도덕법에 따라 행동하도록 만들어졌다는 주장입니다.

    • 공리주의: 가장 많은 사람들의 행복을 증진시키는 것이 윤리적으로 옳다는 주장입니다.

    • 의무론: 윤리적으로 옳은 것은 의무에 따른 행동이라는 주장입니다.

    윤리적 행동이 상대적인 것이라는 견해는 윤리적 기준이 문화, 시대, 개인의 가치관에 따라 달라진다는 입장입니다. 이 견해는 상대윤리학(relativism)이라고도 합니다. 상대윤리학은 다음과 같은 논증을 제시합니다.

    • 문화상대주의: 문화마다 다른 도덕관념이 존재한다는 주장입니다.

    • 역사상대주의: 시대에 따라 도덕관념이 변화한다는 주장입니다.

    • 개인상대주의: 개인마다 다른 도덕관념이 존재한다는 주장입니다.

    윤리적 행동이 상대적인 것인지 절대적인 것인지에 대한 논쟁은 아직도 계속되고 있습니다. 이 논쟁은 윤리적 판단을 내릴 때 고려해야 할 요소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도덕성의 기준과 가치 판단에 대한 철학적 사고를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 다양한 윤리학적 견해를 공부하고 이해하기: 윤리학의 역사와 주요 흐름을 이해하고, 다양한 윤리학적 견해를 공부하면 자신의 가치관을 형성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윤리적 문제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고려하기: 윤리적 문제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고려하면, 자신의 가치관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쌓을 수 있습니다.

    • 경험을 통해 자신의 가치관을 검증하기: 다양한 경험을 통해 자신의 가치관을 검증하면, 자신의 가치관을 보다 확고히 다질 수 있습니다.

    윤리적 사고는 복잡하고 어려운 주제이지만, 끊임없이 고민하고 성찰하는 과정을 통해 발전시킬 수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추천 부탁드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