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물리 이미지
물리학문
물리 이미지
물리학문
WINTERFELL
WINTERFELL 22.10.13

속도와 속력의 개념상 차이는 무엇인가요?

흔히 사용되는 물체의 이동의 빠르기에 대한 표현 가운데 속도와 속력이 있는데요. 이 두가지 용어의 개념적 차이가 무엇인지 알고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진솔한 과학 전문가입니다.

    우선 속력은 스칼라 값이고 속도는 벡터 값입니다.

    속력은 단위 시간 당 이동한 거리를 의미합니다. 방향의 개념이 없는 스칼라 값이죠

    속도는 단위 시간 당 출발점과의 거리와 방향(변위)입니다.

    즉 속도와 속력의 차이는 방향을 포함하는가 포함하지 않는가로 개념 차이가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속력의 정의는 시간 당 이동거리입니다. 속력은 스칼라(scalar) 크기만을 갖는 물리량입니다. 아래 그림에서 S에서 E로 검은선을 따라 이동한 이동거리는 5m가 됩니다. 만약 5m를 이동하는데 1초가 걸렸으면 5m/s의 속력입니다.

    속도의 정의는 시간 당 변위입니다. 속도는 벡터(vector) 크기와 방향을 갖는 물리량입니다. 아래 그림에서 S에서 E로 검은선을 따라 이동한 변위처음과 끝점을 최단거리로 이은 2m입니다. S에서 E 방향으로 2m/s의 속도입니다.

    일상 생활에서는 속력, 속도 크게 구분지으시지 않고 쓰셔도 모두 속력의 의미로 받아들입니다. 차를 타고 고속도로를 100km/h로 달린다면, '나는 100키로 속력으로 가고 있어' 나 '나는 100키로 속도로 가고 있어' 모두 속력의 의미입니다.

    하지만 물리학이나 과학에서는 속력, 속도를 위의 정의 처럼 구분지으셔야합니다. 속도의 경우에는 방향을 꼭 포함 시켜야 합니다. '나는 100키로 속력으로 가고있어', '나는 서울에서 대전으로 100키로 속도로 가고있어' 라고 표현해야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 속력은 양을 나타내는 값이고, 속도는 방향까지 포함된 값입니다.

    물리에서 어느 방향으로 까지 향하는지 알아야 한다면 속도로 표기하나,

    실생활에서는 큰 차이 없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속도는 벡터(방향)와 스칼라(크기)가 포함, 속력은 스칼라 값만 가집니다.

    예를 들어 45도 각도로 쏘아올린 공이 100m 지점에 떨어졌다고 가정합니다.

    100m 지점에 도착할 때 까지 걸린 시간 : 10초라고 한다면

    속력은 출발점과 도착점의 거리 100m 와 걸린 시간 10초를 통해 10m/s 의 속력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속도는 공이 포물선 운동을 하며 지나친 허공의 길을 기준으로 속도를 측정합니다.

    가장 높이 올라간 지점과 땅에 떨어지기 직전의 속도가 다른 이유 입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속도와 속력의 차이는 방향 개념의 차이가 있습니다.

    속력은 움직이는 정도가 달라지면 속력이 같다고 하지만 속도는 방향의 개념도 포함하고 있어 움직이는 정도는 같지만 방향이 달라지면 속도는 변하게 됩니다. 그래서 속도와 속력의 크기는 같지만 다른 개념입니다.


  • 속력은 단위시간당 이동한 거리를 의미합니다. 그리고 속력은 일단 스칼라값이기 때문에 방향을 나타낼수는 없습니다. 예를 들어 자동차 한대가 1시간에 100km를 가면 자동차의 속력은 100km/h를 의미하는 것입니다.

    속도는 단위시간당 출발점과의 거리와 방향입니다. 속도는 벡터값이므로 반드시 방향도 함께 주어져야 합니다. 예를들면 "서족으로 3m/s" 이나 "오른쪽으로 5m/s"처럼 표현해야 하지만 물리에서 위와같이 표시하는 것은 좀 거추장스러울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방향을 거추장스럽게 기입하지않고 처음 운동하기 시작한 방향을 +, 그 반대방향을 -로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