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상해 보험 이미지
상해 보험보험
상해 보험 이미지
상해 보험보험
사랑방손님
사랑방손님21.12.17

심혈관에 대한 보장범위 궁금합니다

심혈관 질환에 대해서 궁금한게 있는데요

심혈관쪽도 종류가 많아 크게보는 허혈성 심장질환으로 보험을 넣는게 좋다고해서 그렇게 넣고 있는데 비허혈성 심장질환은 또 포함이 안된다는건 무슨뜻 인가요 너무 어렵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보험 분야 지식답변자 보험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급성심근경색담보가 심장쪽에서가장좁은범위고현재는허혈성심장질환이가장넓은범위에해당됩니다


  • 안녕하세요. 최종호 보험전문가입니다.

    허혈성 심장질환은 질병분류코드로 설명을 드리면

    i20~25까지입니다.

    비허혈성은 위에서 이야기한 코드 외 질병중에 비허혈성에 해당한다면 보장받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폭 넓게 심혈관은 i20~i50(제외되는 질병코드 존재, 쉽게 설명하기 위함 )까지 이지만,

    보험사마다 심혈관특약이라고 하더라도 각자 인정해주는 범위가 각각 다르기 때문에,

    여러군데 견적을 내어보시고 가입 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보험전문가입니다.

    관상동맥질환은 이러한 관상동맥이 좁아지거나 막히게 되어 심장근육에 충분한 혈액 공급이 이루어지지 못할 때 나타나는 병을 말한다. 관상동맥질환이 바로 허혈성 심장질환이며, 임상적으로는 협심증, 심근경색증 또는 급사(심장돌연사)로 나타난다.

    관상동맥이 좁아지는 원인은 혈관 벽에 콜레스테롤과 같은 지방질이 쌓이는 죽상경화증(atherosclerosis)과 이에 동반된 혈전(thrombus) 때문이다. 위험인자로는 고지혈증, 흡연, 고혈압, 당뇨병, 비만 등이 있다.

    비허혈성 심장질환은 심장근육을 움직이는 전기 신호에 문제가 생기거나, 심장근육의 이상으로 심장 박동이 제대로 안되고 멈추는 질환입니다. 유전성 부정맥과 심근병증이 대표적인 비허혈성 심장질환입니다. 흉통 없이 바로 심장마비가 나타나는 것이 특징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용 보험전문가입니다.

    심혈관질환은

    심장의 혈관 관련하여 모든 담보가 다나오는걸말씀드리고

    허혈성심장질환은 말그대로..허혈성심장질환만 나오는겁니다

    범위의 차이는 심혈관질환이 더 넓으며

    허혈성에서 보장이안되는 부정맥,빈맥,심부전 등이더 나옵니다

    질병코드로는 허혈성은 i20~i25 정도 보시면되시고

    심혈관은 허혈성+i45~i49인가? 까지 추가가되십니다

    조금더 넓은 범위 로보시면되시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