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강력한여치92
강력한여치9223.02.18

콜라를 흔들면 콜라가 넘쳐 흘러나오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콜라를 사서 들고오다가 자연스럽게 흔들고 왔는데

갑자기 콜라가 밖으로 분출되면서 한바탕 난리가

났는데여 콜라가 밖으로 나오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탄산음료는 이산화탄소를 높은 압력으로 눌러서 물에 녹인건데요.캔 속의 이산화탄소는 일부는 물에 녹아있고 일부는 맨 위의 공간에 몰려있습니다.캔을 흔들면 위쪽의 이산화탄소가 거품이 되면서 액체 속에 있던 이산화탄소까지 모여들어 거품이 점점 커집니다.이때,캔 뚜껑을 따면 거품이 차 있던 공간의 압력이 공기의 압력 수준으로 떨어지고 거품이 급속히 많아지면서 캔 속의 액체와 함께 밖으로 폭발하듯 터져 나옵니다.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콜라가 흔들리면 콜라 속에 녹아있던 이산화탄소가 흔들리는 활동에너지를 받아 밖으로 나가려는 힘이 강해집니다. 그래서 그때 뚜껑을 열면 기포가 발생하면서 밖으로 몰려나오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콜라캔을 흔들면 콜라가 넘치는 현상은 기체의 운동과 관련된 현상입니다.


    콜라 안에는 이산화탄소(CO2)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캔 안에서 액체와 기체가 평형을 이루고 있습니다. 평형 상태에서는 캔 안의 공간 상단에 기체가 존재하고, 액체는 그 밑에 위치합니다. 이 때, 캔을 흔들게 되면 액체와 기체 사이의 경계면이 교란되어, 기체가 액체로 용해되는 과정인 흡수가 더욱 활발해집니다. 이 과정에서 콜라 안의 CO2 가스가 액체로 용해되면서 콜라의 부피가 증가하고, 그 결과 캔에서 넘치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캔을 흔들면 콜라가 넘치는 이유는 콜라 안의 CO2 가스가 액체로 용해되면서 부피가 증가하고, 캔 안에서 압력이 증가하면서 콜라가 캔 밖으로 흘러나오게 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홍기윤 과학전문가입니다.

    콜라나 그와 같은 청량음료에는 탄산이 들어 있는데 탄산은 이산화탄소가 물에 녹아서 생기는 산으로 수용액으로 존재하는데 흔들면 녹아져 있던 이산화탄소가 밖으로 빠져나오려고 하면서 뚜껑을 열면 폭발적으로 나오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