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거불리
거불리22.12.02

금리가 실물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궁금합니다

올 들어 미국의 기준금리가 가파르게 오르면서 전세계가 고통을 호소하고 있는데요

제로금리라는 얘기도 십년전부터 들었던 기억이 나는데요 제로금리때와 현재를 비교해서 설명해 주시면 합니다

그리고 예전에1970년대인가에 미국 금리가 20%였었던 적도 있었다고 들었는데 이때는 세계 경제가 어떻게 버텼고 거기서 벗어났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도 금리가 10%까지 도달한 때도 있었습니다.

    금리인상은 실물경제보다 우선적으로 금융시장에 큰 변동을 줍니다.

    이것이 장기화되면서 가계부채가 쌓이고 부동산자산 비율이 높은 우리나라의 경우 부동산급랭, 향후 더 나아가서 기업의 자금압박에 따른 구조조정등이 발생하고요.

    미국의 경우 1970년대에 기준금리를 무려 20%까지 올리고 나서야 인플레이션을 통제하였죠.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2.02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장기 금리는 경제 주체들의 경기 및 인플레이션에 대한 기대가 반영됩니다. 경제 주체들이 경기를 낙관하거나 물가가 오를 것이라고 생각하면 장기 금리는 오르고, 그 반대면 하락하게 됩니다. 금리는 가계의 저축, 기업의 투자, 물가 수준, 나라 간의 자금이동 등 실물경제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1970년대 미국의 물가상승률은 엄청난 수준이었고

    이에 공격적인 금리인상을 통하여 물가를 잡았고

    결국에 스태그플레이션도 해결하였습니다.

    아무래도 금리인상을 통하여 실물경제에 유동성을 회수하고

    물가를 잡음으로써 과열된 경기를 식힌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