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서 아직 벼루를 생산하나요?
붓글씨를 배울때 벼루는 어디어디에서 나는 것이 유명하다 이런 말씀을 선생님으로부터 들었는데. 문득 아직도 우리나라에서 벼루가 생산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보령에서 3대째 남포벼루 제작
“말은 빨리 건너려고 물을 가로질러 가다가 휩쓸려 죽지만, 소는 물 흐르는 대로 따라가 절대 죽지 않지요. 돈과 명예 등 출세만 생각해 서두르면 잘못되는 것입니다. 힘들고 시간이 걸리더라도 좋은 돌을 찾아, 순리에 따라 정성을 더하면 좋은 벼루를 만들고, 또 좋은 작가가 되는 것이지요.”
연일 영하 20도에 육박하던 강추위가 다소 누그러진 지난 12일 오전. 충남 보령시 청라면 남포벼루 전시관에서 만난 김 명장은 벼루에 대한 애정과 자긍심으로 가득했다.
김 명장은 조산 말기 조부 김형수 옹, 부친 김갑용 선생에 이어 3대째 남포벼루 명맥을 잇고 있다. 김 명장은 1987년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6호로 지정된 데 이어 1996년 석공예 부문 대한민국 명장이 되면서 벼루 대가로 공식 인정받았다.
3대째 이어진 남포벼루 제작은 조부 김형수 옹이 마을 서당에 학생들이 쓰는 벼루를 만들어 납품하면서 비롯됐다. 가업을 이은 부친 김갑용 선생의 벼루는 일본 천황에게까지 건너갈 정도로 유명했다.
당연히 아직도 생산됩니다.
서예에 꼭 필요한 그릇 형태의 도구로서,
가격은 천차만별이지만 한국에서는 충청남도에서 생산되는 남포석,
그 중에서도 보령시 쪽에서 채석하는 남포오석을 제일로 여깁니다.
안녕하세요. 이병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네에 아직 생산 하고 있습니다. 벼루는 붓 글씨 뿐 아니라 수북화를 그리는 데도 시용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벼루는 대부분 충북 단양과 충남 보령에서 생산되며, 이 가운데 70% 이상을 보령에서 만든 ‘남포 벼루’가 차지하고 있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벼루는 아직도 생산중입니다.
상선자석벼루는 진천군 초평면 신총리 163번지 상산예원에서 생산되며, 주문을 받아 만드는 시스템입니다.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ㅣ
인감도장을 전문으로 새기는 사람으로서 말씀 드립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인건비등 여러가지 이유로 만들어 내지 않고 중국에서만들어 수입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