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12.07

복사기에도 과학적 원리가 있는지 궁금해요.

직장에서 복사할게 많을때 문득 궁금한게 토너를 장착하고 복사용지가 기계를 따라서 어떻게 인쇄를 정확하게 해서 출력이 되는지 과학적인 원리가 있을법도 한데 라는 생각에 문의드려요. 혹시 복사기에도 과학적 원리가 들어 있는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맞춤법 빌런
    맞춤법 빌런23.12.07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토너를 장착하고 복사용지가 기계를 따라서 인쇄를 정확하게 하는 원리는 간단합니다. 복사기는 레이저 빛을 사용하여 이미지를 복사용지에 전송하는데 이때 토너가 사용됩니다. 토너는 전기적으로 충전된 인쇄용 잉크로 레이저 빛이 닿는 부분에만 붙어서 이미지를 전송합니다.

    복사기에는 또 다른 과학적 원리가 적용됩니다. 바로 정전기력입니다. 복사기는 복사용지를 전기적으로 충전하여 토너가 닿는 부분에만 붙도록 합니다. 이렇게 하면 토너가 정확하게 이미지를 전송할 수 있게 됩니다.

    그리고 복사기는 레이저 빛을 사용하여 이미지를 복사용지에 전송하는데 이때 레이저 빛의 진행 방향을 정확하게 유지하기 위해 거울과 렌즈가 사용됩니다. 이들은 레이저 빛의 진행 방향을 조절하여 정확한 이미지를 전송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복사기는 이미지를 전송할 때 정확한 위치에 전송하기 위해 스캐너를 사용합니다. 스캐너는 복사용지의 위치를 감지하여 이미지를 정확하게 전송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이렇게 복사기에는 다양한 과학적 원리가 적용되어 있으며 이들이 조화롭게 작동하여 정확한 복사를 가능하게 합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1. 광전자공학: 복사기는 광전자공학의 원리를 활용하여 동작합니다. 광전자공학은 빛과 전자의 상호 작용을 연구하는 학문 분야로, 빛의 특성과 전자의 동작을 이용하여 정보를 처리하고 전송하는 기술을 개발합니다.

    2. 광센서: 복사기는 문서를 복사할 때 빛을 사용합니다. 광센서는 복사기의 상단에 위치한 조명 장치로, 문서의 이미지를 비추는 역할을 합니다. 광센서는 빛을 감지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합니다.

    3. 광전자 다이오드: 광센서에서 수집한 빛은 광전자 다이오드라는 전자 부품으로 전달됩니다. 광전자 다이오드는 빛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신호는 후속 처리를 위해 전자 회로로 전달됩니다.

    4. 이미지 처리: 광전자 다이오드에서 변환된 전기 신호는 복사기 내부의 이미지 처리 장치로 전달됩니다. 이 장치는 전기 신호를 디지털 이미지로 변환하고, 이미지를 처리하여 복사할 문서의 품질을 향상시킵니다.

    5. 출력: 이미지 처리 후, 복사기는 디지털 이미지를 다시 빛으로 변환하여 출력합니다. 출력은 토너 카트리지를 통해 이루어지며, 빛을 사용하여 이미지를 들어낸 후 종이에 인쇄합니다.


  • 안녕하세요. 안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

    복사기에서 복사된 용지에 잉크가 달라붙는 것은 정전기를 이용을 합니다.

    정전기를 이용해서 하전을 띄고 있는 잉크가 해당되는 부위로 이동을 해서 종이와 결합을 하게 됨으로써 우리가 원하는 형태의 복사를 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복사기는 광전도 현상과 정전기의 원리를 이용하여 작동합니다. 광전도 현상은 빛을 받으면 전류가 흐르는 현상입니다. 복사기의 원본을 비추는 광원은 빛을 발산하는 광원(광전관, 레이저)을 사용합니다. 광원은 원본의 빛을 흡수하고, 빛을 흡수한 부분은 전류가 흐릅니다.

    정전기는 두 물체 사이에 전하가 서로 밀어내거나 당기는 현상입니다. 복사기의 드럼은 정전기를 띠는 재질로 만들어져 있습니다. 광전관에서 나온 전류는 드럼에 전하를 줍니다. 원본의 빛을 흡수한 부분은 전하가 띠고, 빛을 흡수하지 않은 부분은 전하가 띠지 않습니다.

    이렇게 드럼에 전하를 주면, 토너 가루가 드럼에 달라붙게 됩니다. 토너 가루는 검은색 탄소 가루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토너 가루는 전하를 띠는 부분에만 달라붙고, 전하를 띠지 않는 부분에는 달라붙지 않습니다.

    마지막으로, 토너 가루가 묻은 드럼을 종이에 눌러주면, 토너 가루가 종이에 묻게 됩니다. 이렇게 하면 원본과 같은 복사본이 만들어집니다.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복사기는 복사할 종이에 강력한 빛을 쪼이면 종이에 빛이 닿았다가 드럼 쪽으로 반사됩니다. 드럼 표면에는 반도체인 셀레늄이라는 물질이 발라져 있는데 셀레늄은 평상시에는 (+)전기를 띠지만 빛을 받으면 (-)전기를 띠는 성질이 있습니다. 글자가 없는 여백에 반사된 빛이 드럼에 닿으면 (-)전기를 띠는 것입니다. 그러나 글자 부분은 빛이 반사하지 않아 (+)전기 그대로 남아 있게 됩니다. 토너(흑연가루)는 전기적으로 (-)전기를 띠게 만들어져 있는데 빛이 반사하지 않아 (+)전기를 띠는 글자 부분에 정전기에 의해 드럼에 달라붙게 됩니다. 그 후 종이를 드럼 아래로 통과시킬 때 종이 뒷면에서 강력한 (+)를 보내면 드럼에 붙어 있는 (-)의 토너가 다시 종이로 옮겨져 이미지가 형성됩니다. 토너 가루가 정전기에 의해 종이에 묻어 있지만 정전기가 없어지면 종이에서 떨어져 나가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이 종이를 높은 온도(180℃)의 롤러 사이로 통과시킵니다. 이때 토너가 열에 녹아 종이에 그대로 달라 붙어 있게 되는 것입니다. 복사한 종이가 따뜻한 이유도 뜨거운 롤러 때문이며 이 과정은 아주 짧은 시간에 이루어집니다.

    출처: 교육부 공식 블로그:티스토리 - 전기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