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확정성의 원리를 깨기위해 아인슈타인이 들고온 사고실험은?
고전역학을 바탕으로
우주의 진리를 설명하는
과학적 수식을 만들기 위해 평생 노력한 아인슈타인
그의 상대성 원리로 인해
고전역학에 정체되어잇던 과학계는
폭풍처럼 발전을 하게 되었는데요
그런 와중에 돋아난
양자역학 으로 인해
아인슈타인은 기나긴 토론과 싸움을 한 것으로 압니다.
양자역학을 대표하던
코펜하겐 학파의 불확정성의 원리를
논리적으로 타파하기 위해
사고실험을 만들어 온 것으로 아는데요
불확정성의 원리를 깨기위해
아인슈타인이 들고온 사고실험이 란것이 대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아인슈타인은 하이젠베르크의 불확정성 원리에 대해 큰 의문을 가졌었습니다. 이는 양자역학의 예측이 가지고 있는 불확실성에 의문을 가진 것 입니다. 질문자님의 글에서 말한 것 처럼 양자역학의 통계적인 해석인 코펜하겐 해석에 동의하지 않았고, 이를 반파하기 위해 여러 사고실험을 제시했습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아인슈타인의 사고실험은 그가 의도했던 것과는 달리 양자역학의 기본 원리들을 더욱 견고하게 만드는 데 기여하였고, 양자역학의 이해에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다시 사고실험 이야기로 돌아와서, 가장 유명한 사고실험은 1935년에 보어스와 아인슈타인, 포돌스키가 제시한 EPR역설(Einstein-Podolsky-Rosen Paradox)입니다. 이 사고실험은 양자얽힘을 통해 두 입자가 서로 멀리 떨어진 상태에서도 즉각적으로 서로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보였습니다. 아인슈타인은 이를 "spooky action at a distance" (귀신 같은 원거리 작용)라고 표현하며, 이러한 현상이 실재하는 우주에서는 불가능할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EPR 역설은 양자역학의 기본 가정 중 하나인 입자의 상태가 측정 전에는 불확정적이라는 점에 도전장을 내민 것이었습니다. EPR 역설은 측정의 한 입자가 다른 입자의 상태를 즉각적으로 결정짓는다는 사실을 보여주어, 양자역학 내에서도 완전한 정보가 숨겨져 있을 수 있음을 시사했습니다. 아인슈타인의 이 사고실험은 양자역학의 해석에 대한 깊은 논의를 촉발시켰고, 후에 양자얽힘에 대한 실험적 검증으로 이어졌습니다.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