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오늘도 화이팅
오늘도 화이팅

왜 지구에서 몇천광년 떨어진 곳의 별을 관측하는건가요?

적게는 수백 광년에서 많게는 수억 광년까지 떨어진 곳의 별을 관측해서 얻는게 모가 있을까요?

빛의 속도로 날으는 우주선을 만들수도 없고 그곳에 다이아광산이 있다고 해도 경제적 가치가 제로잖아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화목한다람쥐109
      화목한다람쥐109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우주는 아직 인간이 가보지 못한 미지의 영역입니다

      경제적으로는 발견이 이득이 없을지

      모르나 사람들의 궁금증을 풀어줄 순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준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에서 멀리 떨어진 별들을 관측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첫째, 우리는 우주와 그 안에 있는 모든 물체들을 이해하고자 합니다. 둘째, 우리는 우주의 기원과 진화를 이해하고자 합니다. 셋째, 지구 외 행성과 외계 생명체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고자 합니다.

      하지만 지구에서 멀리 떨어진 별을 관측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닙니다. 별과 별 사이의 거리는 천문학적으로 매우 멀기 때문에, 매우 높은 해상도의 망원경이나 레이더 등의 장비가 필요합니다. 또한, 빛의 속도는 유한하므로, 멀리 떨어진 별에서 나오는 빛은 지구에 도착하는 데 많은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우리가 볼 수 있는 것은 그 별이 어떤 모습으로 있었던 지난 시간의 모습입니다.

    •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

      1. 우린 아직도 별들에 대해 잘 모릅니다. 태양계의 남극과 북극도 잘 모르죠.


      2. 행성 찾을 때 유용하게 쓰입니다. 항성의 밝기 변화가 주기적이라면, 그걸로 행성이 있을 수도 있다는 추측을 할 수 있죠.


      3. 별의 마지막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고 싶어 합니다. 항성이 초신성 없이 블랙 홀로 붕괴되는지도 모릅니다. 태양 질량 250만 배의 별이 아무런 흔적 없이 사라져 많은 과학자들은 당황스러워했죠.


      4. 별로 행성의 대기에 뭐가 포함되어 있는 지 확인 가능하면, 생명체가 살고 있는지 분석도 가능합니다.



      정리: 항성과 대해 잘 알 수 있고, 행성 찾을 때 좋고, 심지어 생명체가 거주하고 있는지 확인 가능해서 좋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우리는 우주에 대해 더 많은 지식을 얻기 위해 먼 별들을 관측합니다. 멀리 있는 별을 관측하면, 그 별에서 나오는 빛의 특성을 분석하여 별의 성질, 거리, 질량, 온도 등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는 우주의 탄생과 진화, 은하계의 형성과 진화, 블랙홀 등 우주의 다양한 현상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