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기보험 만기 설정에 대해서문의드려요.
정기보험 만기는 몇년으로 가는게 좋을까요?
남자 39세이고 술, 흡연 합니다
라이나생명꺼 돌려보니 60세 만기, 65세, 70세, 75세 등 있더라구요.
아이가 있는데 남편이 60살이 되면 대학생일때라 좀 애매해서요.
65세나 70세를 하는게 좋을지 고민입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보험 분야 지식답변자 정구철 보험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대학졸업한 시점까지로 하시는게 적절할 듯합니다.
만약 자녀가 대학 다니던중에 갑작스럽게 가장이 돌아가시게 되면, 자녀는 학업을 이어가기 어려울수 있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보험 분야 지식답변자 최용수 보험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보장기간은 최대한 길게 하시는 걸 권해드립니다.
내가 몇 살까지 살지는 모르기 때문에 65세나 70세로 가입 하실 경우 그 이상 생존을 하게 될 경우 65세나 70세에 다시 보험에 가입을 하려면 가입이 안 될수도 있고 보험료도 비싸집니다.
요즘은 보통 80세만기 또는 100세 만기로 만이들 가입하십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보험 분야 지식답변자 안미정 보험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정기보험은 정해진 기간동안만 보험을 준비하는 것입니다. 가장의 보장자산의 기준은 막내가 독립하는 시점이라고 생각하시면됩니다.
대학만가면
대학은졸업시켜야지
장가는 보내야지.
이 기준에 따라 기간을 다르게 정할수있으십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보험 분야 지식답변자 이준식 보험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사실 70세까지 고민하기 시작하면 종신보험으로 가는 것이 유리할 수도 있습니다.
또는 65세 만기 정기보험에 가입하고 계신 남편분 연금상품이 있다면 그 상품의 적립금도 불어나고 있는 상황으로 사망시 사망보험금+적립금을 지급하게 되니 복합적으로 고민해보시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보험 분야 지식답변자 윤현준 보험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사망보험금을 보장하는 보험은
생명보험사의 상품이 지급조건이 좀 더 낫기 때문에
생명보험사의 종신보험이나 정기보험을 추천드립니다.
종신보험이나 정기보험을 비교하시는 비교적 간단한 방법은,
같은 조건으로 비교해서 보험료가 싼 상품을 선택하시면 되며,
종신보험과 정기보험의 차이점은,
종신보험은 보장기간이 사망시까지 보장되지만 보험료가 비싼편이고,
정기보험은 보장기간이 가입시 정한 시기까지만 되지만 보험료가 저렴합니다.
그리고, 정기보험을 가입하실 때, 사망보험금 이외에 다른 특약을 넣으시더라도,
부가특약의 만기가 주계약을 따라가기 때문에 만기가 짧게 되는 것을 주의하시길 바랍니다.
추가로, 정기보험의 만기를 80세정도로 길게 하시면,
종신보험과 보험료차이가 별로 나지 않으므로,
정기보험은 만기를 60~70세 사이로 설정하시는 것이 낫고,
만기를 길게 하실 것이라면, 차라리 종신보험을 가입하시는 것이 낫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보험 분야 지식답변자 김유진 보험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정기보험은 정해진 기간동안만 보장을 받을수있는보험으로
65세만기인지 70세만기인지 고민하고 계시는군요
보통 금액차이가 크지않다면 70세만기가 더 좋겠지만
65세만기로 하셔도 자녀분이 성인이 될때쯤이니 짧진 않을꺼같습니다.
설계안 보시고 경제적으로 부담되지 않는선에서 가입하시길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보험 분야 지식답변자 전태욱AFPK입니다.
라이나생명에서 비갱신으로 준비가능한 정기보험이 있으시던가요?
저의 경우, 비갱신으로 최대 70세 정도를 추천드립니다.
정기보험이 종신보험과 비교했을 때, 소멸성이란 단점이 있지만
그만큼 보험료가 저렴한 게 정기보험의 장점이다보니
80세 이상으로 만기를 설정하실 경우, 그 저렴함의 장점이 크게 돋보이지 못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보험 분야 지식답변자 이지원 보험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저축성보험을 추천해 드리고 싶습니다.
목돈마련이나 노후생활자금을 대비해주는
보험상품으로 납입한 보험료보다
만기시 지급되는 금액이 더 큰 보험상품 입니다.
저축성보험은 보통 금리가 적금 이자보다 1%이상 높고,
이자에 이자가 붙는 복리가 적용됩니다.
게다가 10년동안 유지하면
15.4% 이자소득세가 면제되는
비과세 혜택도 장점이라고 할 수 있지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보험 분야 지식답변자 한경민 보험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요즘엔 평균수명이 늘어서요 정기보험이라면 적어도 70세까지는 하셔야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말씀하신대로 60세 시점쯤 가장 큰 리스크가 예상되는 만큼 해당 시점 이상까지는 가져가시는게 좋을듯 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성준 보험전문가입니다.
만기는 최대한 길게 가져가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의료실손보험(실비)을 추천드립니다.
의료실손보험은 대한민국 국민 중 과반수가 가입한 보험으로 제2의 국민건강보험이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보장 범위가 가장 넓은 보험이기에 많은 분들이 가입하고 유지하시는 보험입니다.
질병이나 상해로 병원에 입원 혹은 통원 시에 보장 금액 한도 내에서 나온 비용의 상당 부분을 청구할 수 있는 보험입니다.
약 값도 본인 부담금을 초과하는 비용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의료실손(실비)의 항목은 보험사마다 명칭이 조금씩 다르나 질병 입원/통원 의료비, 상해 입원/통원 의료비입니다.
위의 항목으로 순수보장형 30대 기준 1~2만원 내외로 가입 가능합니다.
항상 특정 보험사보다는 보험 비교 몰에서 동일한 조건, 보장 대비 저렴한 곳에서 가입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늘 건강하시고 좋은 일 가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