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신경과·신경외과

화사한테리어287
화사한테리어287

갑자기 감각이 이상하고 팔다리가 저리고 광대근육이 떨려요... 무섭네요..

성별
남성
나이대
29

안녕하세요 오늘갑자기 광대나 눈밑의 살의 근육이 갑자기 떨렷다가 멈추고 온몸에 감각이 저하가 되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작년 8~9월쯤 너무 어지럽고, 다리나 팔쪽이 가끔 저린다? 하면서 신경이 쓰여서 신경외과에서 여러가지 검사를 받고 mra까지 받은결과 기립성빈맥증상만 있고 괜찮다고하셔서 지내던중 오늘갑자기 위의 증상이 나타났고 갑자기 땀이 날거같은느낌이라던가 뒤통수가 뜨거워졋다가 식고 다리가저리고 뭔가 이상한 느낌을 받았습니다 오늘 커피를 마시긴햇는데 커피를 매일 한잔씩 마시긴하는데 제가 커피먹고는 이런경우가 없었어서.... 커피가 아닐거라고 생각은 하지만 혹시모르는거같기도하고요... 최근에 건강검진 했을때는 공복혈당이 100정도 나오고 혈당이 100나오는데 또 어쩔땐 정상으로 나오기도해서 괜찮다고 하셨긴합니다. 오늘 증상을 바탕으로 인터넷검색해보니 당뇨나 이런걸로 인한 말초신경염이나 이런것들이 보이는데 진짜 그런쪽으로 문제가 있을가요..? 음주는 일주일에 많으면 3번정도 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갑작스러운 감각 이상과 근육의 떨림은 무서울 수 있습니다. 질문자분께서 경험하신 증상은 여러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데요, 지금 말씀하신 것처럼 커피나 음주, 스트레스와 같은 생활 습관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다른 요인도 고려해야 합니다. 우선, 카페인은 신경계에 영향을 줄 수 있어서 커피를 마신 후 이런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또한 일주일에 3번 이상의 음주는 신경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줄이는 것이 좋습니다. 말씀하신 것처럼 인터넷에서 검색한 당뇨나 말초신경염과 같은 신경계 문제도 가능성 중 하나인데요, 하지만 단순히 공복혈당이 100 정도 나왔다고 해서 곧바로 당뇨를 의심하긴 어렵습니다. 증상이 지속되거나 악화되는 경우 병원에 방문하여 보다 정밀한 검사를 통해 정확한 원인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별한 변화를 느낄 때마다 기록을 남겨두면 병원에서 상담할 때 도움이 됩니다. 그리고 생활 습관을 조금씩 개선시켜보는 것도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건강을 위해 꾸준히 관리하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가 의사 김민성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팔다리가 저리고 근육이 떨리는 증상은 여러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런 증상은 일시적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지나친 스트레스나 피로, 불안감, 카페인 섭취, 그리고 수면 부족 등과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커피를 마신 후에 이러한 증상이 시작되었다면, 카페인으로 인한 것일 가능성도 있지만, 평소 커피를 마셔도 이런 증상이 없었다면 다르게 접근할 필요도 있겠습니다.

    기립성 빈맥증후군이 있으시다고 하였는데, 이로 인해 체위 변화 시 일시적인 어지럼증이나 저림 증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혈당 문제가 걱정이 되신다고 하셨는데, 공복 혈당이 100 정도면 경계성에 해당합니다. 평소 혈당이 변동할 수 있기 때문에 주기적인 관찰과 관리를 권장합니다. 

    말초신경염은 당뇨와 관련하여 발생할 수 있지만, 반드시 당뇨가 있어야만 발생하는 것은 아닙니다. 음주 또한 신경에 영향을 줄 수 있고, 특히 자주 드시는 편이라면 그런 영향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일단은 너무 걱정하지 마시고, 현재 증상이 지속된다면 병원을 방문하여 전문의와 상담 후 추가적인 검사를 고려해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이미 기립성 빈맥이 있다는 진단을 받으셨다면, 이와 관련된 증상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커피나 음주도 신체에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매일 커피를 마시고도 이런 증상이 없었다면 커피가 직접적인 원인일 가능성은 낮아보여요. 공복혈당이 100 정도로 나온 건 급성 당뇨나 말초신경염을 의심할 만한 수치는 아닙니다. 증상이 계속되거나 심해질 경우, 당뇨나 신경계 문제 외에도 다른 원인이 있을 수 있으므로, 다시 병원에서 신경과나 내분비 내과에서 진료 받아 보시면 좋을 듯 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