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의료상담
신경과·신경외과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의료상담
조신한푸들253
조신한푸들25324.02.01

왼쪽 얼굴 팔 다리 찌릿거림(저림)

나이
39
성별
여성

원래 불안증이있었지만 최근에 유독 심하게 심장이뛰고 불면증도 더심해졌어요 왼쪽 눈이 묵직하고 그랬는데 어제 광대까지 묵직한 느낌이 들더니 심장이 막 뛰고 왼쪽 얼굴 및 팔 다리가 약하게 찌릿 전기오르는 느낌이들었어요 얼굴까지 그런건 첨이였어요 2월말에 뇌mri,mra 찍기로했는데 이상없음 삼차신경증상일까요?

(참고로 작년에 왼쪽 입술,턱이 전기오르듯 마취 덜풀린 느낌이들더니 극심한 어금니 통증이 생겨서 치과에서 크랙 진단받고 신경치료했거든요 입술.턱은 대학병원 구강내과에서 3개월 약 먹고 거의나았구요 보험 처리로 문의드리니 삼차신경통으로 진단나왔다고했어요)

병원은 어딜가봐야할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삼차신경통의 가능성이 있어 보입니다. 신경과나 통증의학과에서 치료를 담당 합니다.

    삼차 신경병증(Trigeminal neuralgia), 또는 삼차신경통은 얼굴과 머리에서의 감각과 온도 감각을 뇌로 전달하는 삼차 신경에 문제가 생겨 얼굴의 감각 이상과 씹기 근육의 약화 증상을 유발하는 질환입니다. 이 질환의 주요 증상은 통증으로, 특히 얼굴의 한쪽 부분에서 갑자기 심한 통증이 발생하며 몇 초에서 몇 분 동안 지속됩니다. 삼차 신경병증은 흔한 뇌신경통 중 하나이며, 중년 이후의 여성에게 비교적 많이 발생합니다.


    원인으로는 외상, 대상포진, 중이염, 바위뼈 꼭지 감염, 종양 압박, 해면정맥굴 또는 위눈확틈새의 문제 등이 있습니다.

    이 질환의 주요 증상은 얼굴 감각의 감소와 씹기 근육의 약화로 시작되며, 종종 인접한 다른 뇌신경의 기능도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삼차 신경통은 특정 부분의 자극에 반응하여 발생하며, 통증은 날카로운 송곳이나 칼 찌르는 것과 같이 강하며, 자극이 멈추면 통증도 사라집니다.

    진단은 주로 환자의 증상과 통증 패턴에 의존하며, 영상학적 검사나 혈액 검사로는 직접 확인하기 어렵습니다. 치료는 약물 치료, 추가적 치료, 수술적 치료의 세 가지 주요 방법으로 나뉩니다.

    약물 치료: 카르바마제핀(Tegretol)을 주로 처방하며, 복용량을 점진적으로 조절합니다. 다른 약물로 phenytoin, baclofen, valproate sodium, lamotrigine, gabapentin 등을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추가적 치료: 다른 약물을 고려하여 의사와 상의하고, 환자의 개별적인 상황에 따라 적절한 추가 치료를 시행합니다.

    수술적 치료: 말초적 접근법과 중추적 시술 두 가지 주요 치료 방법이 있습니다. 말초적 접근법은 삼차 신경의 말단 부분에 약물 주입, 한랭 요법, 또는 영구적 절제를 시행합니다. 중추적 시술로는 경피적 신경절 파괴 방법을 사용하며, 이는 radiofrequency ablation, thermal ablation, glycerol injection, balloon microcompression 등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