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중산층의 기준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세나나오입니다.
정치인들이 입에 발린말로 중산층이 살기 좋은 세상을 만들어야한다 이런말 많이하던데
우리나라 중산층의 기준이 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OECD에서 정한 중산층의 기준으로는
중위소득의 75% ~ 200% 범위 내의 소득을 가진 사람들이
중산층이라고 보며 중산층의 명확한 기준은 없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한국의 중산층의 기준에 대한 내용입니다.
중산층의 기준은 2019년부터는 중위소득의 75퍼센트에서 200퍼센트를 버는 인구를
중산층으로 간주하고 있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에서 중산층은 주로 가정의 소득과 생활 수준을 기준으로 나뉩니다. 중산층은 보통 가정의 월 소득이 전체 가정의 중간 소득 수준에 속하고 안정적인 주거와 교육, 의료 서비스 등을 이용할 수 있는 사람들입니다. 즉, 기본적인 생활을 유지하면서도 여유를 가질 수 있는 사람들을 중산층이라고 합니다.
우리나라에서 중산층의 기준은 소득, 자산, 생활 수준 등의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정의됩니다.
일반적으로 중위소득의 50%에서 150% 사이에 해당하는 가구가 중산층으로 간주됩니다.
예를 들어, 4인 가구의 중위소득이 약 488만원일 때, 약 244만원에서 732만원 사이의 소득을 가진 가구가 중산층에 해당합니다.
또한, 주택 소유 여부와 금융 자산의 규모, 안정적인 주거 환경, 교육 및 의료 서비스 접근성, 소비 여력 등이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중산층의 기준은 보유한 집이 1채 정도 가지고 있고, 동산과 부동산이 15억 정도가 된다면 중산층으로 분류가 되는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