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에스프레소한사발원샷이기본
에스프레소한사발원샷이기본

조선시대에 경신대기근의 원인은 무엇이었나요?

1670년 경술년과 1671년 신해년에 걸쳐서 발생한 경신대기근은 갑작스러운 기후변화로 인해 곡물생산량이 급속도로 감소해서 발생했다고 하던데요.

이 현상이 조선에만 있었던 건이 아니라 비슷한 시기에 전 세계적으로 발생한 것이라고 하더군요.

17세기말에 지구상에 이러한 현상이 나타난 것에 대해서 어떻게. 분석하고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소빙기는 14세기부터 19세기 중반까지 이어진 기후적 현상으로, 지구 평균 기온이 지속적으로 낮았던 시기를 가리킵니다. 특히 17세기 후반은 소빙기의 극점에 해당하는 시기로, 이 시기에 지구 곳곳에서 기온이 크게 떨어졌습니다. 기온 하락은 여러 지역에서 농업 생산에 큰 타격을 주었으며, 이는 기근과 같은 사회적 위기를 초래했습니다. 경신대기근이 발생한 1670-1671년 동안 조선에서는 한파와 가뭄이 이어졌습니다. 여름에는 비가 거의 내리지 않았고, 겨울에는 극심한 추위가 이어져 농작물의 성장이 어려웠습니다. 이러한 기후 변동은 소빙기의 일부로 분석됩니다. 이 시기에 강수량의 극단적인 감소와 함께, 눈과 비가 적어 농업에 필요한 물이 부족했습니다. 이로 인해 농작물이 자라지 못했고, 가축이 죽어 식량 생산이 급격히 줄어들었습니다. 경신대기근과 유사한 기근과 기후 이상 현상은 조선뿐만 아니라 동아시아, 유럽, 아메리카 대륙 등 여러 지역에서 나타났습니다. 예를 들어, 유럽에서는 같은 시기 극심한 한파와 기근이 발생했으며, 중국과 일본에서도 기온 하락과 가뭄으로 인해 농업 생산량이 급격히 줄어들었습니다. 소빙기 기간 동안, 전 세계적으로 활발한 화산 활동이 있었습니다. 대규모 화산 폭발은 대기 중으로 많은 양의 화산재와 황산염을 방출하여, 지구의 태양 복사량을 차단하는 역할을 했습니다. 이로 인해 지구의 기온이 떨어졌습니다. 소빙기 동안, 태양의 활동 주기가 약화되었다는 증거도 있습니다. 17세기 후반에는 태양 흑점의 활동이 거의 사라졌으며, 이는 지구에 도달하는 태양 에너지의 양을 줄이는 결과를 가져왔습니다. 대규모 해양 순환 패턴의 변화도 소빙기의 기온 하락에 기여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습니다. 특히, 북대서양의 해류가 변화하면서 기후 패턴이 불안정해지고, 기온이 하락하는 현상이 이어졌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