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의 지증왕 동시전은 어떠한 기관이였나요?
신라관련 역사 자료를 찾다가 지증왕 때 동시전을 설치하였다고 알게 되었는데요.
동시전은 어떠한 기관이며 동시전을 설치한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답변 부탁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동시전은 509년 신라 지증왕 시기에 설치된 관청으로, 시장에서 일어나는 상거래를 관리하고 감독하는 역할을 담당했습니다. 시장을 관리감독하기 위해 설치된 기관으로, 상업의 발달에 큰 기여를 했습니다.
안녕하세요. 강요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신라는 469년 경도의 방리명을 정하여 수도의 행정조직을 정비하였고 487년에는 처음으로 사방에 우역을 설치 해당 관서로 하여금 관도를 수리하게 함으로써 교통 도로망을 정비하기에 이르렀습니다. 수도와 지방을 연결하는 교통도로망의 정비는 물자의 수송을 용이하게 하여 사방의 물화가 수도에 모이게 되었고 이에 490년에는 서울에 시사가 설치되어 물화 유통의 편리를 도모 할 수 있었습니다. 이러한 기반 위에 지증왕대는 권농정책과 우경의 장려로 생산력이 크게 증대되었고 또 주,군,현제의 실시로 지방에 대한 통제력도 점차 강화되어 공부 수취도 보다 활발해졌죠. 5세기 이전의 신라는 재지 수장층을 통한 공납 지배가 주요한 재정 수입원이었고 이는 해당 지역의 특산물이나 노동력을 중앙에 복속의 징표로서 바치는 체계였습니다. 따라서 그 수요가 부족한 경우도 발생하였고 그러나 5세기 후반 무렵부터는 지배 영역이 확대되고 국가의 이론적인 통치질서가 성립되면서 공산물로 충당할 수 없는 부분은 국가가 관영 수공업을 운영하거나 지방의 수공업자를 동원하여 조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중앙 관부와 관영 수공업장의 물품 수요 때문에 관시와 관상의 필요성이 제기 되었던 것이죠. 이에 509년에는 기존의 시장을 정리 개편하여 동시를 개설하고 그 관리 감독 관청으로 동시전을 설치하였다고 합니다.동시전은 시장의 개폐의 시각,도량형의 사용,상인간의 분쟁,고용상품의 조달, 잉여생산물의 판매 등의 업무를 처리한 것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신라 제22대 지증왕 때 시장을 활성화하기 위해서 동시전을 설치하였습니다. 지증왕 때 설치한 동시전은 이후 신라가 삼국을 통일한 통일신라 시대에 더욱 발전하였고 효소왕 때 서서가 설치되는 등 규모가 더욱 커지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신라 지증왕 10년(509년)에 설치된 동시전은 신라 경주의 동시(東市)를 관리 감독하는 관청이었습니다. 동시는 경주의 동쪽에 위치한 시장으로, 당시 신라의 경제 중심지 중 하나였습니다. 동시전은 이러한 동시의 활발한 활동을 감독하고, 시장 질서를 유지하며, 세금을 징수하는 역할을 담당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