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레이는 흡광도가 무엇이며 어떻게 활용하나요
X레이에서 중요한건 흡광도라고 하는데요 그렇다면 이 흡광도가 무엇인지 궁금하며 그리고 이 흡광도를 어떻게 활용하여 실생활에 쓰이나요
안녕하세요. 질문자님.
이중철 과학기술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엑스레이의 핵심 원리인 흡광도에 대해 궁금해하시는군요.
엑스레이가 우리 생활에 어떻게 활용되는지 최대한 명쾌하게 답변해 드릴게요! ✨
=======
1.질문의 요지:
엑스레이에서 말하는 '흡광도'가 무엇이며, 이 원리를 활용하여 어떻게 실생활에 적용하는지 궁금해하시는군요.
2.답변:
가장 중요한 점: 엑스레이에서 흡광도란 '물질이 엑스레이를 흡수하는 정도'를 의미하며, 이는 물질의 밀도와 원자번호에 따라 달라지는 특성을 활용합니다.
3.구체적인 설명 및 근거:
이유:
엑스레이는 우리 눈에 보이지 않는 고에너지 전자기파입니다. 이 엑스레이를 어떤 물체에 쏘면, 물체를 구성하는 원자들이 엑스레이의 일부를 흡수하고 나머지만 통과시킵니다. 이때 흡수하는 정도, 즉 흡광도가 높을수록 엑스레이가 물체를 통과하기 어렵고, 흡광도가 낮을수록 쉽게 통과합니다.
4.(참고)실제 사례/대응방안 등:
의료 진단: 엑스레이를 가장 많이 활용하는 분야입니다.
- 뼈: 칼슘 성분이 많아 밀도가 높고 원자번호가 커서 엑스레이를 많이 흡수합니다.
따라서 엑스레이 필름에는 하얗게 나타나 골절 여부를 쉽게 알 수 있습니다.
- 살, 근육: 대부분 탄소, 수소, 산소 등으로 이루어져 밀도가 낮아 엑스레이를 거의 흡수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필름에는 검은색 또는 회색으로 보입니다.
- 이처럼 서로 다른 흡광도를 가진 물질들이 필름에 대비되어 나타나는 원리를 통해 인체 내부를 진단합니다.
보안 검색대: 공항에서 사용하는 보안 검색대도 동일한 원리를 이용합니다.
- 금속(칼, 총 등): 철, 알루미늄 등 밀도가 높은 금속 물질은 엑스레이를 많이 흡수하여 화면에 어둡게 나타납니다.
- 유기물(음식, 옷 등): 밀도가 낮은 유기물은 엑스레이를 거의 흡수하지 않아 밝게 나타납니다.
- 이 외에도 물질에 따라 색상을 다르게 표시하는 기능을 추가하여, 폭발물이나 위험물을 더 쉽게 찾아낼 수 있습니다.
산업 비파괴 검사: 재료나 부품의 내부 결함을 검사하는 데 활용됩니다.
용접 부위나 금속 주물에 엑스레이를 투과시켜 내부에 보이지 않는 균열이나 기포가 있는지 확인하여 제품의 안전성을 검증합니다.
=======
궁금증이 조금이라도 해소되셨기를 바랍니다.
이상, 이중철 과학기술전문가였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