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토목공학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눈과 비가 같이 오는 원리가 뭔가요?

12월 3일 토요일 그러니까 내일 눈과 비가 같이 오는 진눈깨비가 온다고 하더라구요. 지금까지 진눈깨비를 직접적으로 보진 못했는데 눈과 비가 같이 만들어지는 원리가 뭔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구름이 상층의 차가운 공기를 만나면 물방울이 되고 , 매우 낮은 영하 40도정도의 대류를 만나면 구름속의 미세 물방울(수증기)은 얼음이 됩니다.

      이 미세 물방울 즉 빙정은 주위의 빙정들과 서로 달라붙게 되고 커지면 떨어지는데 이것이 눈입니다.

      냉장고를 열게 되면 하얀 구름 같은 것이 나오게 되는것을 보실수 있을겁니다.

      이것은 공기중의 수증기가 냉장고의 차가운 온도 때문에 순간적으로 빙정이 되는 현상입니다.

      이 미세한 수증기 빙정이 서로 달라 붙으면 눈이 되는 것입니다.

      눈이 내려오다가 하층의 더운 공기를 만나면 일부 녹으면서 진눈깨비가 됩니다.

    • 공정한백로247
      공정한백로247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보통 비는 언제든지 내릴 수가 있고 눈은 겨울에만 오게 됩니다. 형성 원리는 두개가 비슷합니다. 다만 눈의 경우 더 초저온에서 만들어져서 내리는 겁니다. 매우 낮은 기온에서는 하늘에 있는 물방울이 저온 상태가 되는데 빙점 아래의 온도에서도 액체의 상태가 됩니다. 이 상황에서 물방울이 증발하여 그 수증기가 냉각되면 얼음 결절이 되는거죠.

    • 안녕하세요. 김석진 과학전문가입니다.

      진눈깨비는 빗방울이 얼거나 부분적으로 녹은 눈송이가 다시 얼어서 만들어집니다.

      빗방울이나 녹은 눈송이가 대기의 높은 고도에서 떨어질 때, 지표면 근처에 있는 어는점 아래의 공기층을 지나면서 진눈깨비로 바뀌게 됩니다.

      비로부터 진눈깨비가 되거나 진눈깨비로부터 눈 또는 비가 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눈과 비가 오는 원리는 같습니다

      다만 날씨가 추우면 비가 올 것이 비가 얼어서 눈이 오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

      눈은 일정 온도 이하에서 내리는 것인데, 온도가 엄청 낮지도 높지도 않기에 물이 얼다가 말아서 완벽한 눈이 아닌, 눈+비 형태로 내리는 것이랍니다.

    • 구름 입자의 크기는 매우 작습니다.

      이 입자에 수증기가 조금씩 달라 붙게 됩니다.

      이것이 1mm 정도의 물방울이 되면 비가 내리기 시작합니다.

      비가 내리면서 강풍이 불거나 날씨가 춥게 되면 비가 내리는 도중에 조금씩 수증기가 얼게 되어

      비와 눈이 같이 내리는 진눈깨비가 생기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진눈깨비 또는 눈, 비가 같이 내리는 경우는 대부분 높은 고도에서 눈으로되서 내리다가 지표근처의 지열이나 기타 따뜻한 공기등을 만나 눈이 녹으면서 지표에 도달하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안재환 과학전문가입니다.

      높이에 따라 온도가 다릅니다. 대류권일 경우 지표에 가까울 수록 온도가 높습니다.

      눈과 비는 차가운 대류권 윗부분에서 응결되어 떨어집니다.

      지표면에 도달했을 때 온도가 0도를 약간 웃돌면

      눈 일부가 녹아 비가 됩니다.

      그래서 동시에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기온이 영하권이어서 눈으로 내리다가 강한 태양에너지가 뜨는 낮에는 영상과 영하상태가 뒤섞일 때 내리던 눈이 부분적으로 진눈깨비로 내리게됩니다.


      즉, 애매하게 추운날씨에 눈과 비가섞여 약간 슬러시 형태로 떨어져 내려온다고 볼 수 있습니다.


      감상삽니다.